• 최종편집 2025-03-22(토)

오피니언
Home >  오피니언

실시간뉴스
  • 대전시,‘25. 3. 20.字 4급 이하 승진 인사
    ◇ 4급(과장급) 2명 ▲산업입지과장 박남철 ▲문화유산과장 안준호 ◇ 5급(팀장급) 승진요원 26명 ▲인사혁신담당관 김현아 ▲세정담당관 신화철, 조은희 ▲안전정책과 송현지 ▲자연재난과 오진숙 ▲과학협력과 박훈숙 ▲운영지원과 강민아 ▲자치행정과 차은영 ▲균형발전과 유숙영 ▲문화예술과 이현경 ▲체육시설과 윤여채 ▲질병관리과 장현경 ▲복지정책과 김시원 ▲대기환경과 정희선 ▲수질개선과 고재섭 ▲생태하천과 박철운 ▲공원수목원과 천지혜 ▲농생명정책과 오진세, 윤태호 ▲교통정책과 이현정 ▲버스정책과 김정미 ▲운송주차과 홍성환 ▲철도정책과 권혜은 ▲도시정비과 유동규 ▲토지정보과 송창기 ▲보건환경연구원 이봉철 ◇ 6급 9명 ▲대변인 김정훈 ▲정책기획관 박예슬 ▲산업입지과 박병필, 이흥열 ▲정보화정책과 양희성 ▲체육시설과 홍광의 ▲농생명정책과 이세정 ▲도시재생과 김형진 ▲건설관리본부 이성걸 ◇ 7급 28명 ▲인사혁신담당관 권경주, 조보미, 조영주 ▲정책기획관 서민지 ▲예산담당관 심성욱 ▲재해예방과 김민철 ▲산업입지과 김윤희 ▲운영지원과 김소영, 조현웅 ▲관광진흥과 박건유 ▲체육시설과 권다혜 ▲노인복지과 김하은 ▲대기환경과 김지수 ▲자원순환과 김혜리 ▲운송주차과 김민재 ▲트램시스템과 김승래 ▲상수도사업본부 김동욱, 김정현, 송정민, 안홍영, 이소라, 전형진 ▲건설관리본부 배정재, 여창현, 장설 ▲한밭도서관 김상희 ▲오정농수산물도매시장관리사업소 김태훈 ▲한밭수목원 김원웅 ◇ 8급 9명 ▲회계재산과 김준, 김헌민 ▲노인복지과 김지수 ▲보행자전거과 이인표 ▲상수도사업본부 박현진, 정기룡 ▲건설관리본부 김승주, 진형표 ▲차량등록사업소 김성훈
    • 오피니언
    • 동정
    2025-03-19
  • 가보자! 대전문화유산을 찾아서 / 서구 흑석동 박태상, 박회수 신도비
    서구 흑석동 흑석리역 가는 벌곡로 언덕 오르기 전 좌측 진입하는 폐쇄 도로 끝부분 우측 낮은 야산 도로변 계단에 오르면 '박태상, 박회수 신도비'가 위치하고 있다. '박태상'의 자는 사행이고, 호는 만휴당 또는 존성제이며, 본관은 반남이고, 시호는 문효이다. 문과에 장원한 후 여러 관직을 거쳐 예조판서와 이조판서를 지냈다. 박태상 신도비는 묘와 함께 당초에는 경기도 양주 조암동에 있었는데, 지금은 이곳으로 옮겨와 그를 향해서 남쪽 방향 잡고 있다. 비문은 1702년에 윤증이 짓고 아들 종강이 글씨를 썼으며, 조윤형이 전서를 써서 1735년에 세웠다. 두전은 증 영의정 반계부원군 행이조판서 대제학 시문호 박공 신도비명이라고 새겨 있다. '박회수'의 자는 자목이고 호는 호곡 또는 호하이며, 본관은 반남이고, 시호는 숙헌이다. 이조판서를 지낸 박태상의 5대손이며, 문과에 급제한 후 벼슬이 좌의정에 이르렀으며, 진향부사, 동지사, 고부사 등의 자격으로 청나라에 세 번이나 다녀왔다. 박회수의 묘는 본래 경기도 양주 조암동에 있었는데, 1962년 사진포에서 흑석으로 넘어가는 고개 초입의 왼편으로 이장하였다. 박화수 신도비는 1989년 5대손 찬욱이 박태상 신도비 옆에 세웠다.
    • 오피니언
    • 이광섭,대전문화유산
    2025-02-28
  • 대전 서구 2월 3일자 외 인사 단행
    대전 서구는 2월 3일자 외 인사를 단행했다. 총 298명(승진 44명, 전보 181명, 복직 13명, 전입 25명, 전출 28명, 전입,전출 2명, 신규 5명) 규모의 인사로 명단은 아래와 같다. 6급 65명 (승진12, 전보41, 복직2, 전입5, 전출5) 7급 113명 (승진18, 전보66, 복직8, 전입8, 전출11, 전입,전출2) 8급 100명 (승진14, 전보59, 복직3, 전입12, 전출12) 9급 20명 (전보15, 신규5) <6급> ▲홍보담당관 최정수, 김천태 ▲기획예산과 김의희, 박성자, 이성규(승진) ▲공공건축과 조미영, 한정환(승진) ▲세정과 강경호, 김남형, 김선미, 이흥배, 한경희(승진), 송명섭(승진), 이산호, 한상훈 ▲세원관리과 유지성, 임상수, 조자영, 최혜숙 ▲운영지원과 구은정(승진) ▲자치행정과 정주리(승진) ▲문화체육과 안중복 ▲복지정책과 최진영(복직) ▲노인장애인과 이예지(전입) ▲아동복지과 김은옥(승진) ▲전략사업과 지연옥(승진) ▲지역경제과 이래교 ▲도시계획과 이동균(복직 1.29.자), 원정연(전입), 이창영, 황해선 ▲도시정비과 백소연 ▲건축과 이원재(승진) ▲공동주택과 박한울(전입) ▲재난안전과 김관식, 오세윤 ▲건설과 이주원(전입), 홍영기(승진) ▲교통과 배은희, 최지이(승진) ▲주차행정과 허근영 ▲토지정보과 김혜정(승진), 신기훈(전입) ▲보건행정과 박민아 ▲건강증진과 박신자, 김혜영(승진) ▲평생학습과 이기준, 정희정 ▲도마1동 김경옥 ▲정림동 장주희 ▲용문동 김경민 ▲둔산1동 손명우 ▲둔산2동 백영석 ▲괴정동 구희현 ▲가장동 김진희, 한인희 ▲내동 서지연 ▲갈마1동 신갑철, 신혜선 ▲월평1동 진선희 ▲월평2동 안태현, 김선미, 유영식 ▲대전광역시 최지원(전출), 한미경(〃), 서경식(〃), 조혜영(〃), 한호준(〃) <7급> ▲기획예산과 손윤호 ▲공공건축과 권혁주 ▲세정과 송명섭(승진), 이산호, 한상훈 ▲세원관리과 곽현정, 김민희, 양사연 ▲운영지원과 고창욱, 박소연, 박연환, 최원효, 최향미 ▲자치행정과 김충수, 서성원, 이주현(복직 2.1자), 정우현 ▲문화체육과 권오찬, 황선용 ▲민원여권과 김나예, 임수연 ▲복지정책과 김경비, 이의범, 한지혜 ▲노인장애인과 김현(복직 2.1.자) ▲여성가족복지과 김현(복직 2.1.자), 조샘이 ▲아동복지과 최정선 ▲지역경제과 김설희, 정주희, 최지예 ▲기후환경과 김재이(승진), 김채희, 임다운 ▲자원순환과 이다건 ▲도시계획과 문라정 ▲도시정비과 이효진, 김소정(승진) ▲공원녹지과 최주영, 오정민 ▲건축과 강정순, 안현진(전입) ▲재난안전과 황혜영, 배성호(승진), 이수지 ▲건설과 장하나, 정선택, 최민혁(승진), 김미현(〃) ▲교통과 강미선, 이용재, 이은선, 서지혜 ▲토지정보과 김희원(승진), 이지현 ▲보건행정과 위백현, 이경진, 박선영, 정동희 ▲건강증진과 양혜연(전입), 유승연(승진), 임슬기(〃), 임정현(〃) ▲평생학습과 이소영, 김민성(승진) ▲도서관운영과 김지섭(승진), 김지연(〃) ▲감사위원회 김병열 ▲복수동 박은정(승진) ▲도마1동 손지연, 김현경, 황경희(복직 2.1.자) ▲도마2동 손민정 ▲정림동 임유정(복직) ▲변동 최솔(전입), 김진주 ▲용문동 이관수(전입), 이현아, 김원빈(승진) ▲탄방동 박철우 ▲둔산1동 정한솔, 최고운 ▲둔산2동 김지현, 최성필(복직) ▲둔산3동 강진희 ▲괴정동 윤현 ▲내동 배보경(승진), 이순애(〃) ▲갈마1동 임이슬(복직 2.1.자) ▲갈마2동 남인우 ▲월평1동 권현진(복직) ▲월평2동 강지혜(전입) ▲월평3동 이아라 ▲만년동 장예선 ▲가수원동 남인영, 전수빈(전입) ▲도안동 김나래 ▲관저2동 이정욱, 서원빈(전입) ▲대전광역시 김미지(전출) 김성경(〃), 백범현(전입, 전출), 송상진(전출). 양소영(〃), 이소담(〃), 장민규(〃), 박지수(〃), 강현민(〃), 김아진(〃), 김소혜(〃), 정다혜(〃), 박서희(전입, 전출) <8급> ▲홍보담당관 이재현, 김지나, 장인우 ▲기획예산과 김선인 ▲공공건축과 이선주 ▲세원관리과 김준석 ▲운영지원과 정휘규, 조은이 ▲자치행정과 황서영 ▲문화체육과 김수아, 이정현, 김준수 ▲민원여권과 서혜연, 전보름, 조정아 ▲복지정책과 권예진, 김은지, 지인화, 한재이, 전동혁 ▲아동복지과 이선민 ▲위생과 김혜원 ▲전략사업과 조희수 ▲지역경제과 유윤주, 정예지, 소하연 ▲기후환경과 송수민, 유옥석(전입), 오주연(승진) ▲자원순환과 윤성민, 김지영, 이동윤 ▲도시계획과 이성민, 장수운 ▲도시정비과 최선민, 김지연 ▲공원녹지과 박태준(승진) ▲건축과 백다은, 박혜정 ▲공동주택과 길경영, 김수연, 손병훈 ▲재난안전과 송준화 ▲건설과 신동호(승진), 서기원(〃), 윤소라(전입), 정호현(〃) ▲교통과 박소연, 안성용, 황다빈, 하남명(승진) ▲주차행정과 박혁인, 박형인(전입) ▲토지정보과 최지민 ▲보건행정과 백승하(승진), 이성애(〃) ▲정신의약과 백송이(전입), 양이윤, 김효빈 ▲평생학습과 박소정 ▲도서관운영과 공도화, 이영선(전입) ▲감사위원회 하동건 ▲도마1동 장희수, 홍은비 ▲도마2동 이지형 ▲정림동 박승진(승진), 박현진 ▲변동 안지은(복직) ▲탄방동 홍성현(승진) ▲둔산2동 최은지, 한상욱(승진) ▲둔산3동 임지민(복직), 조혜원 ▲괴정동 조현남 ▲가장동 정지영(승진) ▲갈마1동 진형인 ▲갈마2동 정선엽(승진), 이지훈 ▲월평2동 장혜윤(복직 2.1.자), 조영현(승진) ▲월평3동 김성민(전입) ▲만년동 조용승(승진) ▲도안동 박소희(전입) ▲관저1동 김선미(전입), 남우진 ▲관저2동 서지연 ▲기성동 현혜림 ▲대전광역시 김다인(전출), 김주원(〃), 박현진(〃), 이재경(〃), 정시은(〃), 채수경(〃), 이지유(〃), 공재희(〃), 김휘태(〃), 오민석(〃), 장선화(〃), 이지희(〃) <9급> ▲기후환경과 김진아(신규) ▲자원순환과 안은주(신규) ▲정신의약과 김효빈 ▲도서관운영과 정석원(신규) ▲복수동 김병수 ▲정림동 곽윤서, 배승오 ▲변동 이수민 ▲용문동 전성은 ▲둔산3동 박서형, 허정아, 고승윤(신규) ▲가장동 유원효 ▲내동 이동훈 ▲갈마1동 이유라(신규) ▲갈마2동 손유진, 임채령 ▲월평2동 이상은 ▲만년동 김세진 ▲기성동 김정윤
    • 오피니언
    • 동정
    2025-01-24
  • 대전 중구 인사발령(6급 이하)
    [6급, 승진] - 9명 ▲ 기획홍보실 김경숙, 이미경 ▲ 자치분권과 김서정 ▲ 평생교육과 양희진 ▲ 도시계획과 이선옥, 이준태 ▲ 건설과 권영균 ▲ 건강정책과 박동수 ▲ 대흥동 손혜경 [6급, 전보] - 54명 ▲ 기획홍보실 김지영 ▲ 정책개발실 김대현, 서유정 ▲ 재난안전과 윤석희, 조인기 ▲ 자치분권과 강재황 ▲ 회계과 정민호(전입) ▲ 민원여권과 권인숙, 송혁중 ▲ 문화체육관광과 김은주(전입), 김인환, 최석우(복직) ▲ 일자리경제과 이상임(전입), 이선희, 이재왕(전입) ▲ 세정과 신은영(승진), 장재철 ▲ 세원관리과 박시연, 한지윤(승진) ▲ 복지정책과 권용옥, 민순희 ▲ 사회복지과 권현민(승진), 조윤진, 제현희 ▲ 노인장애인과 김진영, 배은희 ▲ 여성아동과 송은 ▲ 도시계획과 김기성(전입) ▲ 공동주택과 조은한(승진) ▲ 도시재생과 우연기 ▲ 공원녹지과 박종철(교육복귀) ▲ 교통행정과 임수진(교육복귀) ▲ 위생과 강현희(교육복귀), 전민영(전입) ▲ 토지정보과 김영범(교육복귀) ▲ 건강정책과 전하연, 김종대 ▲ 건강증진과 황연화, 지혜현 ▲ 은행선화동 구민선, 이현숙 ▲ 목동 이훈 ▲ 중촌동 김인중 ▲ 대흥동 박찬경 ▲ 석교동 손기영, 최태원 ▲ 부사동 구윤하, 남현숙 ▲ 태평1동 박정미(교육복귀) ▲ 유천1동 유선옥 ▲ 유천2동 이재영(교육복귀) ▲ 문화1동 이지숙 ▲ 문화2동 김은경 ▲ 산성동 하규호(교육복귀) [6급, 중견리더양성과정 교육파견] - 8명 ▲ 행정지원과(파견) 김성희, 김은미, 김은희, 김진영, 박민경, 오유경, 전건수, 정유진 [7급, 승진] - 18명 ▲ 정책개발실 오완택 ▲ 행정지원과 신환철, 최우윤 ▲ 재난안전과 김병건 ▲ 자치분권과 장영은 ▲ 회계과 김수진 ▲ 문화체육관광과 박성준 ▲ 일자리경제과 김보민, 이세연 ▲ 세정과 박재현 ▲ 세원관리과 송유진 ▲ 도시계획과 송유림, 이준구 ▲ 건설과 김영규 ▲ 위생과 홍혜린, 배다영 ▲ 토지정보과 유세희 ▲ 대사동 김명현 [7급, 전보] - 64명 ▲ 기획홍보실 김영석 ▲ 감사실 남수현, 남현자 ▲ 행정지원과 신기철 ▲ 자치분권과 김남국 ▲ 회계과 백승민 ▲ 민원여권과 육지영, 이상기(복직) ▲ 세정과 권혁민 ▲ 세원관리과 조나운 ▲ 복지정책과 신동현, 정지연 ▲ 사회복지과 박은정, 서지혜 ▲ 노인장애인과 윤광섭, 채범석 ▲ 여성아동과 윤송이, 이근철, 최이규(전입) ▲ 건설과 박웅진 ▲ 건축과 김지현(전입), 이주연, 장만익(복직) ▲ 도시재생과 전은식 ▲ 교통행정과 권성은, 김나현, 유은영(2.1.자 복직), 윤현숙(승진) ▲ 주차관리과 문지윤, 한경미 ▲ 기후환경과 이정희(전입), 조승연, 탁윤지 ▲ 위생과 박태경(복직), 이은미, 최미선 ▲ 토지정보과 서수연 ▲ 건강정책과 김민서, 이승주 ▲ 건강증진과 김예희, 박윤희 ▲ 효문화마을관리사업소 박명진 ▲ 목동 김보람(복직), 정지인 ▲ 대흥동 김범선 ▲ 문창동 최진영(승진) ▲ 석교동 박수영, 신소라, 장정일, 최원창 ▲ 대사동 박해성, 정소영 ▲ 부사동 신창수 ▲ 오류동 최수진(복직) ▲ 태평1동 이한솔, 조윤희 ▲ 태평2동 이명신 ▲ 유천1동 심영택, 이후상 ▲ 유천2동 이정모 ▲ 문화1동 김고운, 김용제 ▲ 산성동 이상준, 조성현 [8급, 전보] - 58명 ▲ 기획홍보실 김지원, 오수빈, 이유선 ▲ 정책개발실 양원규 ▲ 행정지원과 엄재훈, 유미림 ▲ 재난안전과 신지연, 조아라 ▲ 회계과 고대우, 이봉재, 이유나 ▲ 민원여권과 김경태, 이상훈, 최재윤 ▲ 일자리경제과 김규리, 박우진, 임연주 ▲ 복지정책과 임재균 ▲ 사회복지과 고준영, 김도연, 안수형(1.29.자 복직), 이미애 ▲ 여성아동과 신의연, 이민지 ▲ 건설과 김석형(승진), 박은정, 조윤주 ▲ 건축과 김신의, 성원준 ▲ 공원녹지과 윤원오 ▲ 교통행정과 박상훈 ▲ 주차관리과 김정연 ▲ 기후환경과 김대길, 김예원, 이주연 ▲ 건강정책과 이빛나(전입) ▲ 건강증진과 민승기 ▲ 효문화마을관리사업소 김광훈(전입), 김종아 ▲ 은행선화동 도은비, 이대현, 장예진 ▲ 목동 라윤상 ▲ 중촌동 김정연, 박현진 ▲ 문창동 황민수 ▲ 석교동 김준희 ▲ 대사동 김수지(복직) ▲ 용두동 장혜주 ▲ 오류동 김민수, 정인철(전입) ▲ 태평2동 한다운 ▲ 유천1동 최은혜 ▲ 문화1동 조혜진 ▲ 문화2동 김규리 ▲ 산성동 김찬미, 박희선, 장현희 [9급, 전보] - 9명 ▲ 정책개발실 박다빈 ▲ 재난안전과 이석진 ▲ 도시재생과 김은하 ▲ 토지정보과 정윤미 ▲ 유천2동 유영지 ▲ 문화2동 강규식, 김민아(전입) ▲ 산성동 김길영, 정소영(전입) [9급, 신규] - 8명 ▲ 회계과 이한민 ▲ 건설과 김은규, 신동우, 이종하 ▲ 도시재생과 최서연 ▲ 공원녹지과 설우혁 ▲ 토지정보과 진가희 ▲ 효문화마을관리사업소 홍정표 [청원경찰, 전보] - 4명 ▲ 도시계획과 손석배 ▲ 공원녹지과 김원경 ▲ 효문화마을관리사업소 박지호, 오승세 ◇ 대전광역시 전출자(14명) [6급] - 6명 대전광역시 강권진, 김남수, 유성윤, 윤태용, 윤홍석, 최승범 [7급] - 4명 대전광역시 박지은, 이소연, 조형원, 홍은기 [8급] - 4명 대전광역시 박세환, 이경윤, 이재정, 차소라
    • 오피니언
    • 동정
    2025-01-24
  • 대덕구 인사발령 – 2025. 2. 3일자(208명)
    대덕구 인사발령 – 2025. 2. 3일자(208명) 6급 이하 208명 ◇ 행정6급(29명) ▲ 기획홍보실 박준현(파견복귀) ▲ 기획홍보실 김윤정 ▲ 기획홍보실 송경의 ▲ 기획홍보실 양연희 ▲ 감사실 김귀인(승진) ▲ 감사실 이승준 ▲ 총무과 박지만 ▲ 안전총괄과 용승인 ▲ 안전총괄과 황미영 ▲ 민원정보과 이현숙 ▲ 토지정책과 서성연 ▲ 생활지원과 서동훈 ▲ 문화관광체육과 노승민(승진) ▲ 문화관광체육과 전하채 ▲ 에너지산업과 김영민(승진) ▲ 에너지산업과 이태수 ▲ 교통과 배영범(전입) ▲ 위생과 김혜경 ▲ 공원녹지과 박광용 ▲ 평생학습과 김아름 ▲ 비래동 김지현 ▲ 비래동 이재혁 ▲ 덕암동 김용성 ▲ 덕암동 변은영 ▲ 목상동 김정수 ▲ 총무과 권동일(파견) ▲ 총무과 양윤정(파견) ▲ 총무과 최숙희(파견) ▲ 대전광역시 심은우(전출) ◇ 세무6급(8명) ▲ 감사실 이충은(승진) ▲ 세정과 고은오 ▲ 세정과 김승주 ▲ 세정과 신성태 ▲ 세원관리과 김정기 ▲ 세원관리과 송명재 ▲ 대화동 김인호 ▲ 총무과 이지윤(파견) ◇ 사회복지6급(16명) ▲ 복지정책과 옥지영 ▲ 복지정책과 최효승(전입) ▲ 생활지원과 노현주 ▲ 생활지원과 도은정 ▲ 생활지원과 정혜정 ▲ 노인장애인과 박성호 ▲ 노인장애인과 장윤희 ▲ 가족친화과 김영례 ▲ 가족친화과 박수미 ▲ 가족친화과 백서연 ▲ 오정동 이지은 ▲ 회덕동 윤정 ▲ 중리동 황미라 ▲ 신탄진동 배윤경 ▲ 총무과 강민경(파견) ▲ 대전광역시 오인숙(전출) ◇ 사서6급(1명) ▲ 도서관운영과 한재민(승진) ◇ 녹지6급(1명) ▲ 총무과 김태완(파견) ◇ 간호6급(3명) ▲ 건강정책과 김신혜 ▲ 건강정책과 박나림(승진) ▲ 총무과 민혜경(파견) ◇ 환경6급(1명) ▲ 자원순환과 황해남 ◇ 시설6급(3명) ▲ 도시계획과 홍현미 ▲ 공동주택과 양장선(승진) ▲ 공공청사과 김진우 ◇ 전산6급(2명) ▲ 총무과 전용림 ▲ 민원정보과 조욱연 ◇ 운전6급(2명) ▲ 공원녹지과 송삼헌 ▲ 건설과 최성필(승진) ◇ 별정6급상당(1명) ▲ 총무과 하범수 ◇ 행정7급(25명) ▲ 복지정책과 김하람 ▲ 경제과 최세진 ▲ 기획홍보실 강형희 ▲ 기획홍보실 김지원 ▲ 기획홍보실 조연진 ▲ 총무과 이현영 ▲ 자치행정과 김동후 ▲ 자치행정과 김의연 ▲ 자치행정과 박희정 ▲ 민원정보과 구재회 ▲ 토지정책과 유승현 ▲ 복지정책과 강고은 ▲ 생활지원과 홍진숙(승진)▲ 노인장애인과 정상호 ▲ 경제과 송유정 ▲ 자원순환과 신명철 ▲ 교통과 문연화 ▲ 건설과 정명권 ▲ 평생학습과 권하정 ▲ 도서관운영과 오우순 ▲ 오정동 최선미 ▲ 법2동 김상우 ▲ 신탄진동 송치승(승진) ▲ 덕암동 진보라 ▲ 대전광역시 조동립(전출) ◇ 세무7급(1명) ▲ 세정과 이보희(승진) ◇ 사회복지7급(8명) ▲ 복지정책과 최보슬 ▲ 생활지원과 송재호 ▲ 생활지원과 이아람 ▲ 노인장애인과 백도열 ▲ 가족친화과 김형진 ▲ 오정동 박은 ▲ 중리동 이령화 ▲ 덕암동 신은경 ◇ 공업7급(4명) ▲ 에너지산업과 서동현 ▲ 건설과 박진아(전입) ▲ 평생학습과 권계영(승진) ▲ 대전광역시 조용일(전출) ◇ 시설7급(10명) ▲ 노인장애인과 김휘근 ▲ 문화관광체육과 심세라(승진) ▲ 환경과 장호용 ▲ 교통과 염다경(전입) ▲ 건축과 노종연 ▲ 공동주택과 이주영(승진) ▲ 공공청사과 이송희 ▲ 건설과 홍다경(승진) ▲ 대전광역시 김주회(전출) ▲ 대전광역시 이종무(전출) ◇ 환경7급(5명) ▲ 환경과 박혜은(전입) ▲ 환경과 한승호 ▲ 자원순환과 서정아 ▲ 자원순환과(대전환경사업지방자치단체조합) 현웅(파견) ▲ 대전광역시 최영민(전출) ◇ 간호7급(4명) ▲ 건강정책과 배애경 ▲ 건강정책과 서신정 ▲ 건강정책과 서은정 ▲ 법2동 유지향 ◇ 전산7급(2명) ▲ 민원정보과 강태훈 ▲ 민원정보과 송민진 ◇ 사서7급(1명) ▲ 도서관운영과 강민지(승진) ◇ 사무운영7급(2명) ▲ 민원정보과 전미양 ▲ 도서관운영과 정임호 ◇ 운전7급(2명) ▲ 교통과 함권주 ▲ 건설과 오창규 ◇ 별정7급상당(1명) ▲ 총무과 김성대 ◇ 행정8급(23명) ▲ 기획홍보실 김지민 ▲ 자치행정과 박진 ▲ 안전총괄과 육승완 ▲ 노인장애인과 윤서령(승진) ▲ 문화관광체육과 서지윤 ▲ 경제과 서종준 ▲ 경제과 홍예지 ▲ 에너지산업과 오윤정 ▲ 환경과 조하연 ▲ 교통과 남윤서 ▲ 회덕동 구혜린(승진) ▲ 회덕동 김미애 ▲ 회덕동 윤준혁 ▲ 비래동 김가진(승진) ▲ 송촌동 정인숙 ▲ 중리동 김환준(승진) ▲ 중리동 이진형 ▲ 법1동 성진용 ▲ 법2동 김태성 ▲ 법2동 허예린(전입) ▲ 신탄진동 이경민 ▲ 대전광역시 이시연(전출) ▲ 대전광역시 송동현(전출) ◇ 세무8급(3명) ▲ 세정과 박진경 ▲ 세정과 한시연(승진) ▲ 세원관리과 전광호 ◇ 전산8급(3명) ▲ 기획홍보실 이종훈 ▲ 안전총괄과 강지은(전입) ▲ 대전광역시 김민경(전출) ◇ 사회복지8급(10명) ▲ 목상동 박세준 ▲ 생활지원과 이윤희 ▲ 노인장애인과 김지형 ▲ 가족친화과 임수진 ▲ 가족친화과 진찬영 ▲ 대화동 최혜영 ▲ 회덕동 안도윤 ▲ 법1동 손혜진 ▲ 신탄진동 최정희 ▲ 석봉동 정찬은 ◇ 사서8급(2명) ▲ 도서관운영과 김민지(승진) ▲ 도서관운영과 박초록(승진) ◇ 공업8급(1명) ▲ 공원녹지과 박성환 ◇ 농업8급(1명) ▲ 에너지산업과 정택민(승진) ◇ 간호8급(6명) ▲보건행정과 임주현 ▲건강정책과 임유진 ▲오정동 백하은 ▲회덕동 조현경 ▲중리동 안명성 ▲법1동 노연희 ◇ 환경8급(3명) ▲ 자원순환과 이은혜 ▲ 자원순환과 이현진(전입) ▲ 대전광역시 최란(전출) ◇ 시설8급(13명) ▲ 안전총괄과 박혜림(승진) ▲ 에너지산업과 박금비(전입) ▲ 환경과 전우진(승진) ▲ 도시계획과 박수민 ▲ 도시계획과 이희지 ▲ 공동주택과 김하정 ▲ 공공청사과 박연수(승진) ▲ 공공청사과 전지환 ▲ 건설과 김동하(승진) ▲ 건설과 송준용 ▲ 건설과 안성빈 ▲ 건설과 임이지(승진) ▲ 대전광역시 명노준(전출) ◇ 녹지8급(1명) ▲ 공원녹지과 이동규(승진) ◇ 운전8급(1명) ▲ 보건행정과 김민기 ◇ 행정9급(8명) ▲ 총무과 황정아 ▲ 평생학습과 송지혜(신규) ▲ 대화동 이지영(신규) ▲ 비래동 김태진(신규) ▲ 법1동 방서형(신규) ▲ 신탄진동 오재선(신규) ▲ 덕암동 허준민(신규) ▲ 목상동 임가원(신규) ◇ 시설9급(1명) ▲ 공동주택과 최재혁
    • 오피니언
    • 동정
    2025-01-24
  • 25. 2. 3.자 대전시 6급 이하 정기인사 발령
    25. 2. 3.자 대전시 6급 이하 정기인사 발령 - 총 455명 / 전보 등 378명 전출 74명 신규임용 3명 - ◇ 전보 등 378명 ▲대외협력본부 이승희, 조홍식 ▲대변인 박예성, 정라희 ▲홍보담당관 윤한빈 ▲인사혁신담당관 박상수, 박재철 ▲기획조정실 김은아, 김현율, 민길정, 송상진, 유성윤, 윤영주, 윤재유, 윤홍석, 임미라, 정상헌, 하인아, 한미경, 황준상 ▲시민안전실 강권진, 김명현, 김상수, 류현정, 이경윤, 이다영, 이용순, 이진민, 정현진, 조종태, 조형원, 최지원, 한송이, 홍영훈 ▲미래전략산업실 김희경, 박정미, 유은진, 정영훈, 조혜영 ▲기업지원국 김주영, 김준상, 류연희, 문장근, 안정현, 오충영, 이성재, 이택동, 한은진 ▲경제국 강연주, 김희정, 박관수, 박규림, 박지협, 박지희, 박한웅, 신대호, 유선영, 유수영, 이지안, 장선미(교류), 장지선, 전대영, 한지현 ▲행정자치국 고성현, 권유진, 노병용, 서성호, 손지혜, 오승현, 이경양, 이송이, 이정은, 이지유, 최현경, 허재현 ▲문화예술관광국 고동우, 김수진, 김지안, 김진아, 박근아, 심상욱, 이성용, 이재영, 지현정, 현성준 ▲체육건강국 박영은, 박찬희, 서은희, 신자은, 이용윤, 임동경, 장선화, 조수연, 조희원, 최승범, 최은영 ▲복지국 강현민, 길훈, 김아진, 박문희, 안경숙, 이경아, 이윤정, 장수진, 전승모 ▲교육정책전략국 곽종원, 궉미현, 나영실, 박미순, 박수진, 이정훈, 이현경, 허정 ▲환경국 권경숙, 김지태, 박춘형, 백민하, 신재관, 오경진, 이건우, 이수경, 이승수, 최란, 허성남 ▲녹지농생명국 오석민, 최지영, 하승표 ▲교통국 강경희, 권재성, 김민재, 김수민, 김유석, 김홍일, 나희민, 남궁선, 서현철, 신정화, 심은우, 이소담, 이준형, 조정만, 지선구, 홍성민 ▲철도건설국 김지혜, 김해준, 서경식, 신재선, 장용석, 조용현, 최영현 ▲도시철도건설국 길승재, 김유나, 박지은, 송민호, 여중현, 이영광, 임재홍, 임해진, 정진순, 조한호, 한호준, 홍석원 ▲도시주택국 고경선, 김영식, 김을구, 김흥주, 박현경, 안병철, 윤정옥, 이동주, 이선호, 이슬, 이중욱, 진완종 ▲인재개발원 강지연, 김수현, 이미라, 조정석 ▲보건환경연구원 권종민, 노진호, 양소영, 오기용, 오승도, 하나리 ▲농업기술센터 남도현 ▲상수도사업본부 공재희, 김강식, 김동연, 김성경, 김소혜, 김영진, 김주용, 김주회, 김지연, 김지용, 김지원, 노화정, 박꽃처럼, 박사라, 박재범, 박지현, 백범현, 서예림, 송동현, 안병철, 원다애, 윤영주, 이경민, 이민영, 이승윤, 이원기, 이종화, 이지희, 이혜민, 임경미, 임권묵, 장민규, 주수림, 지예나, 채수경, 최영민, 태혁준, 한승환, 홍은기, 홍치윤 ▲건설관리본부 길아현, 김근호, 김민지, 김용성, 김유신, 김진솔, 류문선, 명노준, 박순삼, 배남식, 송유진, 양제식, 오민석, 윤여림, 윤태용, 이소연, 이재정, 이태훈, 이하영, 정다혜, 정다희, 정시은, 정유미, 조용일, 한주헌, 홍진희 ▲시립미술관 박상문, 송현영, 차경원 ▲한밭도서관 고광재, 김용원, 박지용, 박지혜, 사공다솔, 성진모, 안미향, 유영미, 정상민 ▲여성가족원 박상희, 변지영, 오인숙, 윤나리, 이연규, 이춘화 ▲공원관리사업소 권중학, 박해인, 이정우, 이종무 ▲노은농수산물도매시장관리사업소 김민지, 송현진, 최경민 ▲오정농수산물도매시장관리사업소 김남수, 문형일, 유혜원, 이시연, 이정은, 정용남, 정태룡 ▲차량등록사업소 강근희, 강한규, 구자혁, 권성호, 김다인, 김미연, 김민경, 김소정, 김정아, 김주원, 김휘태, 박세환, 박지수, 박현진, 성미란, 심민정, 엄다예, 이재경, 조솔, 차정인 ▲대전예술의전당 고수희, 김세진, 김해용, 안치현 ▲하천관리사업소 김소현 ▲한밭수목원 유희용, 정찬우 ▲대전시립연정국악원 유은지, 조동립, 조상구, 차소라 ▲대전시립박물관 남혜지, 정재훈 ▲대전동물보호사업소 김미지, 김성동, 이현승, 임정아 ▲감사위원회 곽주헌, 김경탁, 서동원, 송선빈, 임보라, 전명임, 조형욱, 주용식, 황철민 ▲자치경찰위원회 박윤경, 박윤미 ▲행정안전부(교류) 최희조 ▲국토교통부(파견) 박지홍, 이규호 ▲충청광역연합(파견) 권준복, 김창근, 이중섭, 조아라, 최윤영 ▲(재)2027 충청권 하계세계대학경기대회조직위원회(파견) 강주원, 고아라, 김수미, 이수원 ▲지방자치인재개발원(교육) 진성옥 ▲인재개발원(교육) 강병창, 강봉임, 고진숙, 길명화, 김성구, 김일겸, 김정만, 맹진모, 박미애, 박보영, 박순희(행정자치국), 박순희(대전시립연정국악원), 박현석, 배순옥, 백유민, 석하훈, 성지영, 송치윤, 안동순, 오미정, 윤지연, 이기운, 이남순, 이명임, 이민영, 이병관, 이영희, 이현숙(문화예술관광국), 이현숙(자치경찰위원회), 이혜연, 이희만, 조해주, 조현희, 최동민 ◇ 전출 74명 ▲대전광역시의회 유일선, 이경훈, 이승희, 임동균, 허훈걸 ▲동구 김동규, 김명국, 김지윤, 김홍연, 이선영, 이윤승, 이향표, 정익재, 최동주 ▲중구 김광훈, 김기성, 김은주, 김지현, 이빛나, 이상임, 이재왕, 이정희, 전민영, 정민호, 정인철, 최이규 ▲서구 강지혜, 김선미, 김성민, 박서희, 박소희, 박한울, 박형인, 백송이, 서원빈, 손민정, 신기훈, 안현진, 양혜연, 원정연, 유옥석, 이관수, 이영선, 이예지, 이주원, 이지형, 장희수, 전수빈, 정호현, 최솔, 홍은비 ▲유성구 권두연, 김가진, 김미경, 김하은, 서애경, 윤석경, 이나라, 임재일, 전종선, 정연화, 조영현, 조정선 ▲대덕구 강지은, 박금비, 박진아, 박혜은, 배영범, 염다경, 이현진, 최효승, 허예린 ▲경찰청 김준호 ▲경기도 성남시 박세희 ◇ 신규임용 3명 ▲상수도사업본부 유예원 ▲차량등록사업소 신승명 ▲3·8민주의거기념관 안재필
    • 오피니언
    • 동정
    2025-01-23
  • 가보자! 대전문화유산을 찾아서 / 구완동 청자가마터
    대전시 중구 구완동 야산에 위치하고 있으며, 대전광역시 기념물로 1997년 11월 7일에 지정되었다. 구완동 어청골 마을의 서쪽에 있는 야산의 동쪽 경사면에 가마가 있다. 가마는 경사면의 중앙에 기왓가마가 있고, 그 좌우로 1기씩의 청자가마가 있다. 1호 청자가마는 기왓가마의 북쪽에 있다. 일반적인 가마축조법은 기반토를 약간 깎아내고 바닥에 모래를 깔아 굽도록 설계한 반지하식 구조이다. 이곳은 가마가 위치할 기반토의 좌우를 깊이 깎아내고, 그 위에 가마를 만들어 가마 전체가 지상으로 나오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유구의 상태는 천장부가 모두 무너졌으나, 가마 벽의 바닥 부분이 약간 남아 있으며, 구조는 비교적 잘 남아 있다. 연도 가까운 부분에는 초벌구이, 조각, 그 아랫부분에서는 재벌구이 조각이 주로 발견되었다. 2호 청자가마는 기왓가마의 남쪽에 있으며, 구조는 1호 청자가마와 같다. 출토유물은 주로 대접과 접시류가 발견되고 그 밖에는 확인되지 않았다. 대체로 유약과 태토의 상태로 볼 때 1호청자가마의 출토품보다 저급품이다.
    • 오피니언
    • 이광섭,대전문화유산
    2025-01-22
  • 역 맹모삼천지교
    예전 어느 일간지에서 역 맹모삼천지교 칼럼을 읽었다. 신선한 내용이라 고개를 끄덕끄덕 감동을 받았다. 반드시 좋은 환경에서만 산다는게 다는 아니며 아무리 열약한 환경일지라도 슬기롭게 잘 이용하여 배울 것은 배우면서 극복하면 더욱 좋다는 내용이다. 맹자의 어머니 급씨가 급씨(伋氏)가 맹자의 교육을 위해 세 곳을 이사했다는 것에서 유래한 이야기. 전한 때 학자 유향(劉向)이 지은 열녀전(列女傳)에 등장한다. 맹자를 길러낸 맹모의 교육열을 잘 보여준다 누구나 잘 알고 있는 이야기 그러나 열약한 환경이 부정으로만 볼수 있는가 첫 번째 이사한 곳이 공동묘지 근처였다. 어린 맹자는 묘지에서 벌어지는 일을 하면서 즐겁게 놀았다. 그러나 어머니는 여기서 교육 시킬곳이 아니구나 한탄하여 이사를 갔다. 지금이야 재개발로 인하여 공동묘지가 거의 사라졌지만 과거엔 공동묘지가 많았다. 공동묘지에서 많은 사람들이 장례를 한다. 장례 행위를 보면서 인간의 삶과 죽음을 생각 해본다. 사람으로 태어나서 죽을 때 까지 진정한 삶을 살으려고 노력 했는가. 또는 외형적으로 부를 축적하고 사회적으로 이름이 높은 사람들이 위선적인 삶을 가지지 않는가 혹은 부와 명예는 없지만 가치있는 진정한 삶을 살았는가. 조용히 생각 해보아야 한다. 두 번째로 이사한 곳이 시장이었다. 어린 맹자는 장사꾼이 파는 일을 하면서 즐겁게 놀았다. 그러나 어머니는 여기도 아니구나 하고서 학교근처로 이사를 갔다고 한다. 시장 사전적 정의로는 물건의 거래가 이루어지는 일정한 장소 또는.상품으로서 재화 및 서비스의 교환 및 판매가 이루어지는 추상적인 범위나 영역이다. 즉 장사하는 사람들과 사려하는 소비자들이 모이는 곳으로 시끄러운 환경이 반드시 따라다닐 수 밖에 없는 장소이다. 과연 시장은 아동 교육에 꼭나쁘다고 볼 수 있는가 ? 그속에서 사람들의 어울림 사람 사는 맛을 느껴볼 수 있다. 시장은 경제의 축소이다. 그나라의 경제를 보려면 시장을 가보라고, 사람은 경제를 반드시 알아야 한다. 아무리 위대한 현자라도 말이다. 노동의 중요성을 깨닭고 노동을 통해 벌어들인 정당한 재화를 올바르게 다루는 법을 알아야 한다. 낭비적인 재화 사용은 안되며, 노동 없이 벌어오는 일확천금이나 불로소득은 엄청난 죄이다. 이런 재화는 쉽게 나가버린다. 사람은 좋은 조건을 가진 환경속에서 살아가는게 원칙이다. 그러나 그렇지 못할때가 종종있다. 살다보면 어려운 일을 부닺치기 마련이다. 부딪친다해서 그냥 주저 앉을 수 없으며 어떻게 해서든지 헤쳐나가야 한다. 그런 과정을 통해 진정한 삶의 의미를 배우게 된다. 그렇다고서 맹자의 어머니가 잘못된 행위를 한 것은 아니며 맹자를 위해 당연한 일을 한 것이기에 훌륭한 어머니이다. 훌륭한 어머니 속에서 자란 맹자가 위대한 현인이 된 것은 당연한 것이다. 폭 넓게 생각해볼 필요 있다. 다시말해 정신과 물질을 잘 음미 할 필요가 있으며, 않좋은 환경속에서 자랐다고서 반드시 잘못되는 것도 아니며 극복 잘해 훌륭한 사람이 나오기도 한다. 진화론 과학자인 다윈은 종의기원에서 살아남는 종은 힘이 센 종이 아니라 환경에 적응하는 종이라고 하였다. 자녀들을 위한 진전한 교육 지식을 많이 배우게 하는것도 중요하지만 악조건 속에서 적응력을 가르치는게 더 중요하다고 본다.
    • 오피니언
    • 기고
    2025-01-13
  • 대전시 6급 이하 승진자 선발
    2025. 2. 3.자 대전시 6급 이하 승진자 선발 - 6급 승진 52명, 7급 승진 54명, 8급 승진 13명 등 총 119명 - [6급] 52명 ▲홍보담당관 원종상 ▲세정담당관 김한빛 ▲안전정책과 오경희 ▲자연재난과 이정해 ▲민생사법경찰과 이재왕 ▲국방우주산업과 신기훈, 조영현 ▲기업지원정책과 이향표 ▲창업진흥과 박한울 ▲기업투자유치과 이상임 ▲일자리경제정책과 고은숙, 이나라 ▲에너지정책과 김유석, 송민호 ▲운영지원과 안현정 ▲회계재산과 정민호 ▲소통민원과 황경숙 ▲문화예술과 박수진 ▲문화유산과 박지홍, 이진아 ▲관광진흥과 서애경 ▲체육시설과 이예지 ▲의료정책과 전민영 ▲복지정책과 양혜영, 전대영 ▲아동보육과 최효승 ▲여성가족청소년과 김은주 ▲환경정책과 고아라, 김가진, 홍주은 ▲대기환경과 김수진 ▲생태하천과 원정연 ▲산림녹지정책과 최문정 ▲농생명정책과 조현웅 ▲교통정책과 배영범, 윤나리 ▲철도정책과 김동미 ▲건설도로과 김영후 ▲보행자전거과 이택동 ▲트램시스템과 정용남 ▲도시계획과 이미영, 정유미 ▲도시정비과 김수현 ▲주택정책과 하인아 ▲보건환경연구원 김한별 ▲상수도사업본부 김재영, 김정규, 이종석, 임재일 ▲건설관리본부 강지연, 이주원 ▲한밭수목원 김병철 [7급] 54명 ▲인사혁신담당관 박채리 ▲법무통계담당관 김주미, 이관수 ▲재해예방과 임동경 ▲자연재난과 조도현 ▲기업지원정책과 김세진 ▲기업투자유치과 안진실, 이원경 ▲일자리경제정책과 차정인 ▲운영지원과 조희원 ▲정보화정책과 유재윤 ▲회계재산과 정연화 ▲관광진흥과 이원희 ▲의료정책과 임미정 ▲질병관리과 양혜연, 이선영 ▲식의약안전과 정지은 ▲복지정책과 윤영주 ▲노인복지과 김지현 ▲장애인복지과 서원빈 ▲대학정책과 최솔 ▲여성가족청소년과 정진우, 조정석 ▲대기환경과 박혜은 ▲산림녹지정책과 박해인 ▲공원수목원과 김의태 ▲교통정책과 변지영 ▲버스정책과 박서희 ▲교통시설과 김문공 ▲건설도로과 이정은 ▲트램건설과 최이규 ▲토지정보과 박꽃처럼 ▲인재개발원 엄다예 ▲상수도사업본부 김미경, 박상희, 유희용, 윤석경, 이소영 ▲건설관리본부 남혜지, 사공다솔, 서승현, 안현진, 염다경, 이윤승, 이정희, 장정임 ▲한밭도서관 강전홍, 장기동 ▲오정농수산물도매시장관리사업소 남궁선, 임권묵 ▲차량등록사업소 손민정, 전수빈, 조정선 ▲대전시립연정국악원 강지혜 [8급] 13명 ▲정보화정책과 오유석 ▲소통민원과 허예린 ▲상수도사업본부 강지은, 김동규, 유옥석 ▲건설관리본부 박소희 ▲여성가족원 이지형, 장희수 ▲차량등록사업소 김광훈, 김성민, 전종선, 정인철 ▲대전예술의전당 김지윤
    • 오피니언
    • 동정
    2025-01-07
  • 대전시의회사무처, 1. 1.字 인사발령
    <승진> ◇ 5급 : 1명 ▲ 산업건설전문위원 송치영 ◇ 6급 : 1명 ▲ 충청광역연합(직무파견) 이상현 <전보 등> ◇ 2급 : 2명 ▲ 의회사무처장 양승찬 ▲ 전출(대전광역시) 유세종 ◇ 4급 : 2명 ▲ 입법정책담당관 최인기 ▲ 교육파견(지방자치인재개발원) 문정순 ◇ 5급 : 3명 ▲ 충청광역연합(직무파견) 최봉석(’24.12.31.자), 김진이 ▲ 전출(대전광역시) 심영두 ◇ 6급 이하 : 2명 ▲ 홍보소통담당관 행정6급 안효일 ▲ 충청광역연합(직무파견) 속기7급 김규태 <신규> ◇ 7급(상당) : 1명 ▲ 비서요원 이영호 ◇ 8급(상당) : 1명 ▲ 비서요원 공성민
    • 오피니언
    • 동정
    2024-12-31

실시간 오피니언 기사

  • 存心篇(존심편): 본심을 보전함
    ★ 景行錄에 云 坐密室을 如通衢하고 馭寸心을 如六馬하면 可免過이니라. (경행록에 운 좌밀실을 여통구하고 어촌심을 여육마하면 가면과이니라.) 경행록에 이르기를 비밀스러운 방에 앉아 있더라도 네거리에 있는것같이 하고 한치의 마음 다스리기를 여섯 필의 말 다스리는 것같이 하면 가히 허물을 면하느니라. 衢(네거리 구) 懼(두려울 구) 馭(부릴 어) 坐密室(좌밀실): 아무도 보지 않는 밀실에 앉아 있어도 可免過(가면과): 허물을 면할 수 있다. ⊙ 擊壤詩에 云 富貴를 如將智力求인댄 仲尼年少合封侯니라. 世人은 不解靑天意하고 空使身心半夜愁이니라. (격양시에 운 부귀를 여장지력구인댄 중니연소합봉후니라. 세인은 불해청천의하고 공사신심반야수이니라.) 격양시에 이르기를 만일 부하고 귀함을 지혜로 구할 수 있다면 공자께서도젊었을 때 제후에 봉해졌을 것이다. 세상 사람들은 푸른 하늘의 뜻을 이해하지 못하고 공연히 몸과 마음으로 하여금 밤중에 근심하게 하니라. 擊(칠 격) 壤(흙 양) 詩(글 시) 尼(여승 니) 封(봉할 봉) 侯(제후 후): 요즘의 지방 자치 단체장 정도의 벼슬 解(풀 해) 使(하여금 사) 愁(근심 수) 合封侯(합봉후): 합당히 제후에 봉하여졌을 것이다. 半夜(반야): 한밤중 擊壤詩(격양시): 송나라 때 소옹이 엮은 격양집에 실려 있음 愁(근심 수): 秋+心=愁(회의문자) 仲(버금 중): 人+中=仲(형성문자) ⊙ 范忠宣公이 戒子弟 曰 人雖至愚나 責人則明하고 雖有聰明이나 恕己則昏이니 爾曹는 但當以責人之心으로 責己하고 恕己之心으로 恕人則不患不 到聖賢地位也이니라. (범충선공이 계자제 왈 인수지우나 책인즉명하고 수유총명이나 서기즉혼이니 이조는 단당이책인지심으로 책기하고 서기지심으로 서인즉불환부 도성현지위야이니라.) 범충선공이 아들과 아우를 경계하여 가로되 사람이 비록 지극히 어리석으나 남을 꾸짖음에는 밝고 비록 총명함이 있으나 자신을 용서하는 데는 어두우니 너희들은 다만 마땅히 남을 꾸짖는 마음으로 자신을 꾸짖고 자신을 용서하는 마음으로 남을 용서한즉 성현의 지위에 이르지 못함을 근심하지 아니해도 되니라(즉 저절로 성인이 될 수 있다는 말) 范(성 범) 雖(비록 수) 愚(근심 우) 爾(너 이) 聰(귀밝을 총) 聰明(총명) 聖(성인 성) 聖人(성인) 神聖(신성) 賢(어질 현) 賢人(현인) 賢明(현명) 聖賢(성현) 范忠宣公(범충선공): 북송 철종의 재상 但(다만 단): 人+旦(아침 단)=但(형성문자) ⊙ 施恩勿求報하고 與人勿追悔하라. (시은물구보하고 여인물추회하라.) 은혜를 베풀었거든 보답을 구하지 말고 남에게 주었거든 후회를 쫓지 말라. 施(베풀 시) 忠(충성 충) 宣(베풀 선) 公(여러 공) 恩(은혜 은) 報(갚을 보, 알릴 보) 報償(보상) 報恩(보은) 報道(보도) 速報(속보) 追(쫓을 추) 追跡(추적) 追越(추월) 追憶(추억) 悔(뉘우칠 회) 後悔(후회) 悔恨(회한) 追悔(추회): 추후로 후회함 ⊙ 念念要如臨戰日하고 心心常似過橋時이니라. (염염요여임전일하고 심심상사과교시이니라.) 생각마다 중요한 것은 전쟁에 임하는 날같이 하고 마음마다 항상 다리를 지나는 때 같이 할 지니라. 생각은 늘 신중하고 조심하라는 뜻이다. 臨(임할 림) 戰(싸움 전) 過(지날 과) 橋(다리 교) 時(때 시) ⊙ 心不負人이면 面無慙色이니라.(심불부인이면 면무참색이니라.) 마음에 남을 저버리지 않으면 얼굴에 부끄러운 빛이 없느니라. 負(질 부) 負擔(부담) 勝負(승부) 負債(부채) 慙(부끄러울 참) 負人(부인): 남을 저버림 ⊙ 人無百歲人이나 枉作千年計이니라.(인무백세인이나 왕작천년계이니라.) 사람은 백 세까지 살지 못 하나 헛되이 천년의 계획을 세우느니라. 歲(해 세) 枉(굽을 왕, 헛될 왕) 計(셀 계, 꾀 계) 無(없을 무) ⊙ 寇萊公六悔銘에 云 官行私曲失時悔오 富不儉用貧時悔오 藝不少學過時悔오 見事不學用時悔오 醉後狂言醒時悔오 安不將息病時悔이니라. (구래공육회명에 운 관행사곡실시회오 부불검용빈시회오 예불소학과시회오 견사불학용시회오 취후광언성시회오 안불장식병시회이니라.) 구래공육회명에 이르기를 관리가 부정한 행위를 행하면 지위를 잃었을 때 뉘우치고 부자가 검소하게 쓰지 않으면 가난해졌을 때 뉘우치고 재주를 젊었을 때 배우지 않으면 때가 지나서 뉘우치고 일을 보고 배우지 않으면 쓸 때 뉘우치고 술에 취하여 한 말은 깼을 때 뉘우치고 편안할 때 장차 쉬지 않으면 병이 든 뒤에 뉘우치느니라. 私曲(사곡): 不正(부정) 非行(비행): 사사로운 욕심 때문에 비리를 저지름 失時悔(실시회): 벼슬을 잃었을 때 뉘우침 狂言(광언): 주책없는 말 寇萊公(구래공): 송나라의 재상 寇(도적 구) 萊(쑥 래) 悔(뉘우칠 회) 後悔(후회) 悔恨(회한) 藝(재주 예) 藝術(예술) 技藝(기예) 文藝(문예) 醉(취할 취) 醉客(취객) 滿醉(만취) 醉中(취중) 狂(미칠 광) 狂人(광인) 狂犬病(광견병) 醒(깰 성) 覺醒(각성) 銘(새길 명): 金+名(이름 명)=銘(형성문자)쇠에 글을 새겨 넣는다는 뜻 病(병 병): 病(형성문자) 貧(가난 빈): 分(나눌 분)음+貝(조개)뜻=貧 돈을 나누어 가지므로 가난해진다는 뜻 息(쉴 식): 自+心=息(회의문자) 자신이 편히 쉬면 마음이 편안하다. ⊙ 존심편 관련 이야기: <만덕의 은혜> 만덕의 성은 김씨인데, 탐라(제주도의 옛 이름) 어느 양가의 딸이었다. 어려서 어머니를 잃고 의지할 데가 없어서 기녀에게 의탁하여 살았다. 만덕이 성장하자 기생 명부에 이름을 올렸는데, 만덕은 비록 머리를 숙이고 관기로 부림을 당하였으나 그 스스로는 기생으로 여기지 않았다. 나이 스물이 넘어 기생이 아니고 양민의 딸이라는 사실을 관청에 울며 호소하니, 관청에서 불쌍하게 생각하여 기생 명부에서 빼주고 다시 양민으로 돌아가게 하였다. 만덕은 비록 민간에서 살게 되었으나 탐라의 사내들을 어리석다고 생각하여 남편으로 맞이하지 않았다. 그녀는 재물을 늘리는 일에 뛰어났는데, 수시로 바뀌는 물건 가격에 맞추어 매매하여 몇십 년이 지나 상당한 재산가로 이름이 났다. 정조 대왕이 즉위한 지 19년이 되던 을묘년에 탐라에 큰 기근이 들어 굶어 죽는 백성의 시체가 쌓였다. 정조 대왕이 구휼미(가난한 사람과 이재민을 도와주는 쌀)를 실어 보낼 것을 명령하니, 팔백 리 먼 바닷길(한양에서 탐라까지)을 바람을 받은 돛단배가 왔다 갔다 하였으나, 때에 맞출 수는 없었다. 이에 만덕이 천금의 돈을 던져 뭍에서 쌀을 사니, 여러 고을의 사공들이 때에 맞게 이르렀다. 만덕은 그 십분의 일을 가지고서 친족들을 살리고, 나머지는 모두 관청으로 보냈다. 부황(오래 굶어 살가죽이 붓고 누렇게 되는 병)든 사람들이 그 이야기를 듣고 관청에 구름같이 몰려드니, 관청에서는 급한 사람과 그렇지 못한 사람을 가리어 나누어 주기를 차등 있게 하였다. 탐라의 남자들과 여자들이 거리로 나와 만덕의 은혜를 칭송하며 “우리를 살린 사람은 만덕이다.”라고 하였다. <양진과 왕밀> 중국 후한 때 사람 양진은 학식이 높아 ‘관서공자’라 일컬어졌으며, 벼슬이 태위에까지 이른 인물이다. 그가 형주자사가 되어 임지로 가는 도중에 창읍을 지나게 되었다. 예전에 형주 사람으로서 학식이 있다는 왕밀이란 사람을 임금에게 추천하였는데, 바로 그 왕밀이 창읍의 현령으로 있었다. 왕밀은 밤에 황금 10근을 품속에 품고 와서 양진에게 바쳤다. 품속에서 꺼내 놓은 황금을 보며 양진이 말하였다. “나는 그대를 아는데 그대는 나를 모르는가?” 왕밀이 대답하여 말하였다. “사양하지 마십시오. 늦은 밤이라 아는 이가 없습니다.” 양진이 말하였다. “하늘이 알고 귀신이 알고, 내가 알고, 그대가 아는데 어찌하여 아는 이가 없다고 하는가!” 왕밀은 부끄러워 내빼듯 그 자리를 물러 나왔다. <더불어 사는 삶> 조선 영조 때 조현명은 정직하고 깨끗하였으며 언행이 단정하고 공사가 분명하였다. 탕평책을 주장하여 어느 집단에 끼지도 않았다. 영의정으로 있을 때였다. 아내의 초상을 당하여 각 지방에서 많은 부조가 들어왔다. 초상을 치른 후 살림을 맡아 보던 집사가 잠시 한가한 때에 “남은 돈으로 땅을 사는 게 어떻겠습니까?” 하고 상의해왔다. 조현명이 물었다. “큰 아들의 뜻은 어떠했느냐?” “예, 큰 아드님도 좋다고 하셨습니다.” 조현명은 그 말을 듣고 아무 말도 하지 않고, 술을 가져오라고 하여 혼자 마셨다.그리고 자식들을 불렀다. 자식들이 모두 모이자 큰 소리로 나무랐다. “이 짐승만도 못한 놈들아! 부좃돈으로 땅을 사려하다니 어미의 송장을 팔아서 돈을 벌겠다는 것과 무엇이 다르냐? 더욱이 나는재상이면서도 땅을 사지 않았는데 너희 같은 하찮은 것들이 굶어 죽을까 봐 걱정한다는 말이냐?” 이튿날이 되자, 그는 부조로 들어온 모든 재물을 가난한 일가와 친구들에게 나누어 주었다.
    • 오피니언
    • 교육
    2024-06-10
  • 아이가 뿔났다 - 제 2장 좌우뇌에 날개를 달자
    성격적으로 좌뇌와 우뇌는 어떤 기능을 하는지 알아보자. 좌뇌가 우뇌보다 높은 사람은 세상을 좌뇌로 바라보고 좌뇌로 생각하고 행동한다. 그래서 좌뇌적인 사람을 고지식하고 융통성이 없다고 말한다. 예를 들어 엄마가 밖에서 기분이 나빠 들어왔을 때 좌뇌가 높은 아이는 고지식하고 눈치가 없어서 기분이 나쁜 엄마를 귀찮게 쫓아다니며 잔소리하다 혼이 난다. 그러나 우뇌적인 감각이 있는 아이는 이때 어떻게 해야 하는지 우뇌가 판단해서 일단 자리를 피하고 보는데, 좌뇌는 고지식해서 그런 명령을 내리지 못하여 결국은 크게 혼나게 된다. 그러나 우뇌로 행동하는 아이들은 엄마가 화가 나 있으면 평상시 안 하던 행동을 하게 된다. 큰소리로 책을 읽거나 집안 정리를 하는 등 갖은 애교를 부린다. 이것은 어느 쪽 뇌로 생각하고 행동하는가에 따라서 다르기 때문이다. 좌뇌가 두뇌를 지배하는 아이들은 고지식하고 융통성이 없는 반면 논리적이고 이성적이다. 친구들도 자기 맘에 들어야 하며 자기 주관이 뚜렷하다. 그리고 욕심이 많아 습관만 잘 들여놓으면 자기 할 일은 스스로 한다. 우뇌 편향적인 아이는 감각적이다. 창의성 및 예술성이 뛰어난 특징을 갖는다. 앞에서 살펴보았듯이 좌뇌, 우뇌는 다른 특징을 갖고 있다. 따라서 어느 한쪽만 편향적으로 계발되는 것은 문제가 있다. 상호 보완적일 때 최상의 결과가 나올 것이다. 좌뇌의 특징인 논리와 이성이 바탕이 된 창의성은 빛을 발할 것이고, 우뇌의 특징인 감각에 기초한 실력 역시 마찬가지의 결과를 낳을 것이다. 우뇌가 발달한 아이는 감정이 풍부하여 안정감을 찾고 학습에 임할 수 있으며 좌뇌 선호형 아이는 합리적이어서 학습 능력이 뛰어날 확률이 높다. 어느 한쪽도 소홀히 할 수 없다는 것이다. 여기서 좌뇌적인 사람과 우뇌적인 사람이 가진 특징을 조금 더 알아보자. 좌뇌적인 사람을 대할 때는 작은 실수라도 하지 않도록 조심 해야 한다. 어떤 일을 설명할 때 자세하고 정확하게 말이나 글로 설명해 주어야 한다. 우뇌적인 사람을 상대할 때는 상대방으로 하여금 좋은 느낌을 받을 수 있도록 행동해야 하며 그림이나 물건을 직접 보여주며 설명해야 이해가 빠르다. 좌뇌적인 사람은 선물도 실속 있는 것으로 하되, 우뇌적인 사람은 꽃처럼 감성적인 부분으로 접근해야 한다. 우뇌적인 사람은 정에 약하다. 좌뇌적인 사람은 정보다는 철저하게 체계적이고 논리적인 면을 먼저 보게 된다. 우뇌가 지극히 발달한 사람들이 예술가형이다. 예술을 하는 사람들은 겉으로 보아서도 예술을 하는 사람이라는 것을 한눈에 알 수가 있다. 남자들도 머리를 길게 늘어뜨린 다거나 옷도 정장보다는 독특한 옷을 많이 입는다. 예술가는 남들이 생각하지 못하는 것들을 생각하고 현실로 옮길 수 있는 사람들이다. 어찌 보면 현실감각은 좀 떨어질 수도 있다. 예술을 하는 사람들을 보면 재주는 곰이 넘고 돈은 누가 번다는 속담처럼 돈 버는 쪽에는 약할 수밖에 없다. 학습적으로 좌뇌와 우뇌는 어떤 기능을 하는지 알아보자. 좌뇌는 언어, 즉 말하고 읽고 쓰는 활동을 다스리며 논리적이고 계산적이기 때문에 ‘적당히’를 허용하지 않고 꼬치꼬치 부분적으로 파고들어 간다. 또한 어려운 수학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논리적이고 분석적인 사고는 좌뇌에서 담당한다. 문제를 부분적으로 나누어 순서에 따라 논리적으로 해결해 나간다. 좌뇌는 정보를 동시에 수용하기보다는 부분에서 전체로 하나하나씩 축적하는 방법을 택하며, 어떤 상황에서도 핵심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진지하고 신중하게 접근하여 더 나은 방법을 찾는다. 또한 은유법이나 추리를 거의 하지 않고 사실 그대로의 뜻만 해석한다. 즉 좌뇌가 높은 아이들은 체계적, 순서적, 논리적이며 학업 성취에서 높은 잠재력이 있으나 융통성이 부족하고 고집이 세어 통제하기가 힘들기도 하다. 우뇌는 단어를 통해서가 아니라 이미지를 통해서 사물을 인식한다. 따라서 미술 전시관이나 자연 속에서 자극을 많이 받게 된다. 또한 위치와 공간적 관계에 대한 정보는 우뇌에서 처리된다. 밤에 갑자기 정전되어도 헤매지 않고 물건을 찾을 수 있는 것도, 퍼즐 맞추기 놀이를 잘할 수 있는 것도 우뇌가 있기 때문이다. 우뇌는 논리적으로 정보를 분석하기보다 직감, 영감, 느낌, 시각적 영감 등을 근거로 정보를 순간적으로 받아들이며, 한 가지씩 일을 처리해 나가기보다 많은 정보를 동시에 처리하고 문제를 전체적으로 본다. 높이 나는 새가 먼 곳을 바라볼 수 있듯이 우뇌를 계발하면 학습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우뇌는 두뇌 속에 저장된 정보들을 결합하여 새로운 형태의 이미지를 만들어 내는 창조적 활동의 보고이며, 이미지로 표현할 수 있는 그림 그리기, 조각하기, 연기 등은 우뇌의 능력이다. 우뇌가 높은 아이는 창의적이고 예술적인 감각을 갖고 있으며 남을 배려하고 도와주는 정도 있고 다른 사람을 생각해 주는 넓은 마음과 잠재력이 있다. 눈치가 있어 사람들과 대인관계를 잘한다. 그러나 노는 것에 너무 치중하여 학습에 지장을 줄 우 려가 있고, 생각보다 행동이 앞서는 경향이 있어서 엉뚱하다는 소리를 들을 수 있다. 즉 좌뇌적인 사람은 충분히 언어를 사용하여 설득하여야 이해가 빠르며 우뇌적인 사람은 언어로 설득하는 것보다는 그림이나 사물을 보고 이해를 시키는 것이 빠르다. 우뇌가 좋은 사람은 사람의 이미지라 할 수 있는 얼굴을 잘 기억하고 처음 만났을 때 옷이라든가 그 사람에게서 풍기는 이미지를 잘 기억하지만, 좌뇌적인 사람은 그 사람의 이름이나 하는 일 혹은 경력 등을 잘 기억한다. 이와 같은 이유로 우뇌를 ‘이미지 뇌’, 좌뇌를‘언어 뇌’라고 부르기도 한다. 해부학상에서 좌뇌와 우뇌의 차이를 발견한 사람은 로만 카 순터라고 하는 미국 신경학자이다. 그는 죽은 사람의 뇌를 세밀히 비교하여 좌우 비대칭성으로 존재하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측두 평면’이라고 일컫는 부위, 즉 좌뇌에서 두드러지게 큰 이 부위는 언어와 크게 관련이 있음을 밝혔다. 우리의 모든 인체 동작을 관찰하면 우뇌는 뇌의 우반구이고, 신체 좌측의 감각과 운동을 통제한다. 상대적으로 좌뇌는 뇌의 좌반구이며 신체 우측의 기능을 통제한다. 예를 들어 오른쪽으로 보인 사물에 대하여는 뇌량을 통해 좌뇌에 전달하는 것이며, 왼쪽 눈으로 본 사물은 우뇌에 전달되지만, 이것은 곧 뇌량을 통하여 좌우뇌에 연락한다. 그러나 인간의 언어기능은 좌뇌에 속한다. 우뇌는 이미지, 공간성 명령을 처리하는 등의 기능을 가진다. 좌우뇌는 다른 기능을 가지고 있어서 서로 사고와 의식의 종합적인 활동을 진행한다. 예를 들어 구상이나 사고의 측면에서 보면 우뇌형 사고는 ‘유추형 사고’라고 부를 수 있으며, 좌뇌형 사고는 ‘수위형 사고’라고 할 수 있다. 소위 유추는 마치 시계의 바늘과 같아서 계속해서 평온한 표현을 명령한다. 수위 측면에서 말하면 전자시계와 같아서 수나 양 등을 명령하며 각 수에 따라 명확하게 구분한 후에 연속되지 않은 형태로서 표현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지금 나의 감정이나 몸으로 느끼는 날씨 혹은 사물을 만져본 느낌과 같이 정확한 수치나 언어로 표현하기 힘든 것들은 우뇌에서 처리한다. 좌우뇌는 8개 영역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좌뇌는 학습 영역인 추상력, 언어사고력, 수리력, 추리력의 뇌기능을 담당하고 있으며 우뇌는 인성 영역으로 협응력, 구성력, 시각적 통찰력, 지각속도력의 기능을 한다.
    • 오피니언
    • 교육
    2024-06-10
  • 안식의 시간, 거친 바다를 항해하고 귀환한 승전병
    이제, 혹독한 겨울을 이겨낸 장미가 승전보를 알리며 여름날의 기수를 자처하고 있다. 아름다운 승전병이 된 장미처럼 고결한 어르신의 귀환도 따뜻한 미담으로 남는다. 구순을 넘기셨지만 총기를 잃지 않은 어르신. 교양있는 말씨, 고운 차림새, 어머니는 아직 ‘여자’를 잃지 않으셨다. 95년을 살아내신 어머니의 인생은 연세가 모든 것을 말해주었다. 수많은 일들을 겪으셨지만 남는 건 ‘사랑’이라고 단언하신다. 사랑의 모체는 가족으로부터 비롯되지만 세상사 이모양 저모양으로 사랑의 실타래가 엮여있다. 결국, 아름다운 날들이었다고 하시는 어머니의 손은 여전히 따뜻했다. 온통 사랑으로 채워진 유년시절 1931년 음성군 금왕에서 출생하고 무극국민학교를 졸업했다. 중학교는 서울 외갓집에서 서울여상을 다녔다. 그 시절에 소읍에서 태어나 서울에서 학창시절을 보냈다는 건 집안의 여건이 풍족했다는 방증이다. 초등학교만 나와도 읍사무소에서 근무하던 시절이었다. 서울여상 졸업 후에 고향으로 내려와서 농협에 다니고 있었다. 당시 나의 행보는 ‘신여성’이라는 말이 무색하지 않았다. 세상이 그저 아름답게만 보이던 꽃 같은 날들이었다. 이제는 그리워하기에도 너무 멀리 와버린 그 시절이 아득하기만 하다. 2024년 94살이 되었다. 94년을 살고 있는 오늘이 나도 믿기지 않은 세월이다. 열세 살까지 동생이 없던 나는 중학교에 가서 여동생이 태어나 동생은 우리 집안에 보물이었다. 우리는 맏딸인 나 달홍, 정림, 대현, 광현, 정숙, 미숙 이렇게 6남매로 사랑을 키워나갔다. 13살까지 동생이 없던 것은 그 사이 동생들이 홍역으로 두 살을 못 넘기고 세상을 떠났다. 그래서 더더욱 동생의 탄생은 우리 집안의 경사였다. 아버지는 나에게 초등학교만 나와서 여느 집 딸들처럼 집안일을 거드는 일상이 당연하다고 보셨지만 외할아버지께서 앞으로는 여자도 배워야 한다고 나를 서울 외갓집으로 유학보내셨다. 나는 서울여상에 입학해 홍제동 고개를 넘어다니면서 학창시절을 보냈다. 당시 서울여상은 중학교와 고등학교 같이 4년제로 운영되고 있었다. 소읍에서 유학을 갔지만 금왕에서 포목점을 하던 집의 딸이라 생활이 궁핍하지 않아서 끈달린 검정 가죽구두를 신고 서울 친구들에 비해 모자람이 없었다. 우리 학교에는 제주, 평양, 부산, 만주 등에서 유학을 온 친구들도 많았다. 다들 그 지역에서 방귀깨나 뀌는 집안의 딸들이었다. 학급은 송, 죽, 매반으로 나누었는데 나는 송반에서 공부를 했다. 세라복을 입고 주판을 놓던 ‘열다섯 살 달홍’이를 떠올려보니 너무 눈부신 날들이라 눈시울이 붉어진다. 방학때 고향에 내려오면 온동네 사람들이 잔치를 벌여주었다. 먹거리를 준비하고 나를 챙겨주시던 동네 어르신들까지 온동네 사람들의 관심과 사랑을 받은 만큼 베풀면서 성장할 수 있었다. 한번은 서울에서 내려오는 길에 물난리가 나서 철로가 끊겼다. 기차에서 내려서 급히 전보를 치고 다시 버스를 갈아타고 돌아돌아 금왕에 왔는데 마을 사람들이 나를 기다리고 있었다. 세라복입은 어린 나는 물난리로 두려움에 떨고 있었는데 동네분들을 보니 왈칵 눈물이 쏟아졌다. 남의 자식이 아닌 우리 자식이라고 여겨주던 마을 분들 사랑에 감격스러웠다. 부모님들이 동네에서 인심을 잃지 않아서 그 사랑이 나에게까지 옮겨진 것이다. 유년시절 사랑받던 추억을 생각하면 부모님 생각에 목이 메인다. 우리 인생의 풍미는 단맛만으로는 얻을 수 없다 여고를 졸업하고 농협에 입사를 했다. 참하고 성실한 여행원으로 인기도 제법 많았다, 그 와중에 아버님이 음성에서 농협에 다니는 청년(박승식)을 만나보시고 나의 배필감으로 적역이라고 혼사를 진행하셨다. 우리 나이 때는 결혼에 대한 자기 결정권이 전혀 없어서 부모님이 정해주는 혼처를 운명으로 만나게 되었다. 1953년, 결혼식 당일 날 남편 얼굴을 보았다. 훤칠하게 잘생긴 미남이라 안심은 했지만 그렇게 얼굴한번 못 본 남자와 혼인을 하던 그 시대를 살았다. 남편은 양반 집안의 자손이라 점잖고 자상한 사람이었다. 대학준비를 하고 있었는데 여운형씨 피살사건이 터지면서 시국이 어수선하여 고향에서 농협에 근무하고 있었다. 우리는 7남매를 낳고 다복한 가정을 이루었다. 평탄하고 고운 길만 걷던 나에게 운명이 사나운 모습으로 나타나 애꿎은 장난을 걸어왔다. 남편은 성실한 사람이었는데 하루는 진천에서 테니스대회를 마치고 와서 속이 안좋다고 해서 한의원에 갔더니 대전 큰 병원으로 가보라고 권해주었다. 황급히 병원에 갔더니만 위암 진단이 나왔다. 지금은 암이 흔한 병이 되기도 했고 의술도 발달해서 완치 확률이 높아졌지만 50년 전만 해도 암이라는 이름만으로도 바로 죽음을 연상하곤 했다. 우리 부부에게는 청천벽력같은 진단이었다. 다행히 수술을 하고 그냥저냥 벼텼는데 수술 후 3년 만에 재발을 하고 50살에 위암으로 세상을 떠나면서 인생에 큰 굴곡을 만났다. 삶과 죽음의 경계에서 자유로운 사람은 없지만 7남매와 함께 남겨진 그날은 망연자실할 수밖에 없었다. ‘사별한 여인’ 이라는 무거운 이름으로 옥죄던 시절 유년 시절부터 마흔 살이 될 때까지 고단한 인생길을 걷지 않았다. 50살이 돼서야 세상이 무너지는 아픔을 겪었다. 남편과의 사별은 생살이 찢기는 그 이상의 고통을 감내해야 했다. 끝 모를 슬픔과 처음으로 직면했다. 남편을 먼저 보내고 나는 스스로 일상의 즐거움을 차단했다. 안경도 쓰지 않았다. 예쁜 옷을 입으면 손가락질 받을 거 같아 두려웠다. 40년 전의 사고방식은 ‘사별한 여인’이라는 이름을 저울에 올리면 그 삶의 무게를 측정할 수 없었다. 엄마라는 이름, 여자라는 이름으로 속울음을 삼키고 인내해야만 하는 시대를 살았던 증인의 입장으로는 지금 여성들의 사는 모습이 그저 부러울 뿐이다. 자기 결정권이 있고 혼자서도 당당한 여성들이 보기 좋다. 내가 동년배에 비해서 배움이 넓고 깊었지만 세상 속에서 여성의 한계에 맞서기에는 역부족이었다. 100살이 가까워오니, 결국 사랑이다 지금은 막내아들 집에서 아들 내외와 같이 살고 있지만 아이들에게 민폐가 되지 않을까 미안한 마음과 고마운 마음이 늘 마음의 저울에서 그 무게가 다르지 않다. 아직도 당당한 여성으로 살아가는 노력을 멈추지 않아 90이 넘은 지금 아직도 나는 현역이다. 오래전 우리 땅이 터미널 부지가 되면서 음성버스 터미날 운영권을 갖고 있어서 전표 관리를 아직 내가 하고 있다. 서울여상에서 공부했던 저력을 지금까지도 발휘하고 있다. 성업 할 때는 대성여객, 서울버스, 신선버스, 경일여객 등 9개 회사를 관리했고 무표가 들어오면 암산으로 계산하던 시절도 있었다. 우리를 지탱해주는 원천이 무엇일까 생각해보면 바로 사랑이라고 즉답할 수 있다. 부모님으로부터 받았던 그 사랑을 우리 아이들한테 돌려주었고 이웃들과도 나누었다. 나이 들어 봉사활동을 많이 했던 까닭도 부모님으로부터 물려받은 성정 덕분이었다. 40살부터 여성단체 활동을 하면서 내내 봉사활동을 해왔다. 대한어머니회 음성지회장, 육영회회장, 평통위원, 여성단체협의회 음성지회장 등을 두루 거치면서 봉사의 손길을 놓지 않았다. 봉사활동때는 늘 호박죽을 직접 끓여서 사람들에게 대접했다. 도움을 받는 사람들, 봉사자들과 푸짐하게 나눠먹곤 했던 추억이 인생 말년의 큰 보람으로 다가온다. 부모님이 유년 시절 나에게 보여주셨던 그 마음이라 특별한 명분 없이도 꼭 해야 할 일이었다. 누군가 “나 혼자만 잘살면 무슨 재민가”라고 했던 말을 우리가 기억하고 하나씩만 실천한다면 세상이 강퍅해졌다는 아쉬운 소리가 줄어들 것 같다. 백살이 가까워오니 가족이나 이웃들이 작은 마음 하나씩만 나눠도 삶의 질이 달라진다는 말을 꼭 들려주고 싶다. 결국, 사랑밖에 남는 게 없다. 이제 더 이상 드넓은 바다로 항해를 떠날 일은 없겠지만 잠잠해진 바다 위로 유유자적 날아다니는 갈매기 떼를 보는 것과 같은 그 안식의 시간이 지금 나에게 주어진 호사다. 오늘 거울에 비친 나의 얼굴이 거친 바다와 싸우고 귀환한 승전병의 미소를 띄고 있다. 지나온 나의 인생이 '잘 살아오셨어요‘라고 말을 건넨다면 여한이 없다는 말로 화답하고 싶다.
    • 오피니언
    • 자서전
    2024-06-10
  • 무엇이 중헌디
    무엇이 중헌디? 어느 영화의 대사처럼 인생에 있어서 진짜로 중요한 것이 무엇일까? 건강, 돈, 명예 아닐까? 그래서 “돈을 잃으면 조금 잃는 것이고, 명예를 잃으면 많이 잃는 것이고, 건강을 잃으면 다 잃는 것이다”라는 말도 생겼다. 돈, 명예, 건강은 다 우리의 삶에 있어서 중요한 것들이다. 그러나 건강은 생명과 직결되는 것이기 때문에 제일로 중요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래서 건강을 잃으면 다 잃는 것이라고 하는 것이다. 예수께서도 “사람이 만일 온 천하를 얻고도 제 목숨을 잃으면 무엇이 유익하리요 사람이 무엇을 주고 제 목숨을 바꾸겠느냐(마16:26)”라고 말씀했다. 그런데 우리의 몸을 망치는 원인은 마음이다. 성경에 “무릇 지킬 만한 것보다 더욱 네 마음을 지키라 생명의 근원이 이에서 남이니라”(잠4:23)고 말씀하고 있다. 이스라엘 백성들의 마음이 그 어느 민족보다 강하고 담대한 것은 보장된 하나님의 약속의 말씀이 있기 때문이다. 리처드 칼슨이 쓴 “우리는 사소한 것에 목숨을 건다”라는 책이 생각난다. 이 책에서 그도 사소한 것에 매여 마음을 힘들게 하거나 앞으로 나가지 못하게 하지 말고 잊을 것을 잊고 버릴 것을 버리고, 내려놓을 것을 내려놓고, 자신의 마음을 대범하게 만들어 가야 한다고 주장한다. 전반적으로 이 책의 큰 흐름은 토니 로빈스가 썼던 책 '네 안에 잠든 거인을 깨워라'와 그 맥을 같이 하고 알프레드 아들러의 '인생의 지지 않을 용기'와도 흐름이 비슷하다. 생각 바꾸기를 통해서 감정을 전환시키고 쓸데없는 에너지의 낭비를 막는다는 것이 핵심이다. 또한 기본은 급한 것부터 하기 보다는 중요한 것부터 하는 습관이 반드시 필요하다. 당신이 누구이든지 무슨 일을 하든지 간에, 당신 자신과 당신이 사랑하는 사람의 행복, 마음의 평안 이상으로 중요한 것은 없다는 사실을 명심하라. 어떤 상황에든 남을 탓하지 않고 끝까지 책임을 지려고 노력한다는 것은, 단순히 일의 책임을 남에게 돌리지 않는다는 것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그보다는 행복과 타인, 주변 상황에 적극적으로 대응한다는 의미이다. 예를 들면 누군가 자신을 몹시 짜증 나게 하는 존재가 있을 때, 잠시 눈을 감고 그 사람이 귀여운 어린 아기라고 상상해 보자. 그들의 가냘픈 모습과 순순하고 귀여운 눈망울을 어떻게 미워할 수 있겠는가? 얄미운 사람 때문에 마음이 복잡하다면 이번에는 그 얄미운 사람이 머지않아 곧 죽게 될 가엾은 노인이라고 상상해 보라. 한결 마음이 가벼워지며 매이지 않을 것이다. 어떤 이유에서건 기분이 저조해질 때면, 스스로에게 말하라. "이것도 그냥 지나갈 거야. 지난번에도 그랬어 결국은 좋게 될거야" 그렇게 하고 긍정하고 소망을 갖어 본다. 그러면 그렇게 될 것이다. 나는 인생을 지나치게 심각하게 받아들이지 않겠다고 새롭게 다짐한다. 모든 것에 신의 지문이 찍혀 있다는 사실을 명심하는 것은 그것 자체만으로도 특별한 경험이 된다. 다루기 힘든 사람을 상대해야 할 때, 일이 제대로 마음먹은 대로 성사되지 않을 때 이 영적인 사실을 떠올려 보라. 마음이 안정되고 세상을 보는 눈이 한층 깊고 넓어질 것이다. “무엇이 중헌디~” 김명기 신대동교회 담임목사
    • 오피니언
    • 5분칼럼 굿포유
    2024-06-10
  • 하인리히 법칙
    큰 사고가 일어나기 전에 그와 관련한 작은 사고와 징후가 반드시 존재한다는 하인리히 법칙(Heinrich’s Law)이 있다. 여러 차례 경고성 전조를 무시하면 큰 재해를 입게 된다는 게 핵심이다. 미국의 트래블러스 보험사 관리 감독자였던 하인리히가 주창한 것으로 1:29:300 법칙이라고도 한다. 산업재해로 사망 또는 중상자 1명이 나오면 그 전에 같은 원인으로 경상자 29명이 있었고 역시 같은 원인으로 사고는 아니지만 아찔한 순간을 겪은 사람이 300명 있었다는 것을 밝혀낸 것이다. 큰 사고는 우연히 또는 어느 순간에 갑작스럽게 발생하지 않는다. 사회적으로 일어나고 있는 우발적인 범행도 그 원인을 찾아보면 그럴만한 이유가 있다. 하인리히의 1:29:300 법칙은 산업현장의 재해뿐만 아니라 각종 사고나 재난, 또는 사회적·경제적·개인적 위기나 실패와 관련된 법칙으로 확장되어 해석되고 있다. 사회적으로 생각하기도 힘든 청소년의 비행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과연 우발적일까? 그럴만한 원인이 없을까? 모든 인위적 사고를 보면 대부분 인간성 상실에서 원인을 찾을 수 있다. 사람에 있어서 가장 기본적인 것은 사람에게서 사람 냄새가 나는 인성이다. 인성이 무너지면 상상할 수 없는 끔찍한 사고는 피할 수 없다. 역으로 바른 인성의 소유자는 절대로 사고를 저지르지 않는다. 그래서 인성이 가장 중요하다. 약한 사람을 보면 도울 줄 알고 학교 규칙을 잘 지키고 부모님 말씀을 잘 듣는 기초가 튼튼한 사람이었다면 결코 불행한 일을 벌일 리 없다. 바른 인성에 결함을 주는 요인을 제거하고 아주 작은 비행일지라도 가볍게 넘기지 않고 치유한다면 큰 사고를 막을 수 있다. 길거리에서 빚어지고 있는 청소년의 작은 비행에 올바른 소리 하지 못하는 세상이니 비행의 강도가 커질 수밖에 없다. 모래 위에 아무리 튼튼한 집을 지어도 그 집은 오래 버티지 못한다. 그래서 기초가 매우 중요하다. 기초는 절대 가볍게 보아서는 안 된다. 오른쪽으로 다니고, 신호등을 지키는 것과 같이 가볍게 보이지만 절대 가볍게 보아서는 안 되는 것이 기초다. 이런 기초가 잘 되어 있으면 예절이 바르고 공부도 잘하게 되어 있다. 기초가 무너져 있는 사람은 아무리 좋은 일을 하더라도 그 결과가 절대 좋을 수 없다. 특히 정치가는 더더욱 그렇다. ‘수신제가치국평천하’라는 말이 있다. 우선 자신부터 깨끗하게 하고 가정을 지킨 다음 정치에 뜻을 두어야 한다. 수신제가가 되어 있지 않다면 정치에 ‘정’도 생각하지 마라. 수신제가가 되어 있지 않은 자 주위에는 썩은 내가 진동하여 파리가 득실거리고 죄도 없는 사람이 죽는다. 자신이 깨끗하지 않고 가정이 엉망인데 무슨 정치가 되겠는가? 요즘 국회의원 하는 행동을 보면 초등학교 학생들이 해도 이보다는 낫다. 공천받기 위해 혈안이 되어 아닌 것도 아니라 하지 못하고 오로지 권력의 시녀로 전락한 행태를 보면 구역질이 나고 세금이 아깝다. 이런 자들이 정치를 한다고 깝죽거리니 나라 꼴이 잘 될 리가 있는가? 당선되기 전에는 그렇게도 똑똑하던 자들이 당선만 되면 희한하게 거수기 로봇이 되니 정말 한심하다. 국민을 위해 소신껏 정치하는 국회의원 보기 힘들다. 정치인이 국민의 신뢰를 받지 못하는 가장 근본적인 원인도 기초가 무너진 사람들이 정치를 하기 때문이다. 말로만 국민과 나라를 찾고 실제는 간신배 측근들과 함께 밥그릇 나누기 바쁘니 무슨 놈의 정치가 되겠는가? 앞으로 대통령이든 국회의원이든 단체장이든 기초가 무너진 사람이 당선되는 일이 있으면 안 된다. 이런 자가 당선되면 국민을 위해 써야 할 세금이 부패한 권력 유지에 쓰인다. 학교에서 모범생으로 선생님 말씀 잘 들어 공부 잘하고 명문대 들어가 열심히 노력한 사람보다 대학 때 하라는 공부는 하지 않고 어영부영 대학 졸업하고 썩은 정치 동아줄 꽉 잡아서 국회의원하고 단체장하고 장관을 하니 나라가 조용할 날이 없고 좋은 소식보다는 안 좋은 소식이 매일 터진다. 인간에게 가장 중요한 것이 인성이고 인성이 무너지면 아무것도 할 수 없다. 특히 정치인 중에 인성이 무너진 자는 절대로 정치를 해서는 안 된다. 유유상종이라고 뭐는 뭐끼리 모인다고 인성이 무너진 자의 주위에는 그런 사람이 모이게 되어 있고, 그런 집단의 결속력은 더욱 강하여 자기들의 생각과 다른 사람은 상생의 대상이 아니라 배척의 대상, 즉 적으로 내몬다. 무식한 놈이 용감하다는 말이 있다. 전문 지식이 부족하니 잘잘못을 가릴 줄 모르고 잘못된 일을 하면서도 마치 개선장군처럼 의기양양하다. 국민이 눈에 보이지 않으니 정말 용감하다. 모든 사고는 반드시 원인이 있고 절대 우발적이지 않다. 하인리히 법칙을 교훈 삼아 기초를 튼튼히 해야 한다. 사람에게서 가장 중요한 것이 바른 인성이다. 청소년의 끔찍한 비행도 어떻게 보면 학교에서 말썽을 부리고, 친구들을 괴롭히는 등 잘못된 작은 비행을 가볍게 했던 누적된 결과다. 바늘 도둑이 소도둑 된다는 말이 있듯 작은 것이라도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 하인리히 법칙 하면 떠오르는 세월호 사건은 결코 우발적이지 않다. 큰 사람이 되려거든 기초를 튼튼히 해야 한다. 그 기초의 중심은 바로 사람 냄새 나는 인성이다. 사람에게서 사람 냄새가 나는 세상은 모두가 행복한 세상이다.
    • 오피니언
    • 교육
    2024-06-10
  • 읍내동 있는, ‘읍내동 장승’을 찾아서
    대덕구 읍내동 사거리에는 ‘읍내동 장승’이 위치하고 있는데 남장승은 높이 173cm, 둘레 170cm이며, 여장승은 높이 136cm, 둘레 234cm이다. 남장승은 전면에 4개의 줄이 수직으로 음각으로 파여 있으며, 측면에도 수직으로 음각으로 2개의 긴 홈이 있으며, 후면 상부에는 홈이 7cm 정도 파여 있다. 여장승은 자연석으로 상부가 약간 평범하다. 처음에는 여장승 전면에 하천이었으나, 주변 지역이 발전함에 따라 하천은 복개되었다. 당시 남장승은 하천 복개로 제거되어 대덕구 회덕동주민센터 화단에 누여있었다. 하천이 복개 이후 회덕초등학교에 있다가 회덕동주민센터 건립 이후 비석 군을 옮기면서 남장승이란 것을 모르고 옮겨진 것이다. 읍내동 남장승은 2016년 2월 20일 대보름 행사장 가기 전 회덕동주민센터 비석 군 답사 시 화단에 누워있는 돌 옆줄이 이상하다고 생각하여 그 뒤로 ‘대덕의 문화유산’ 책자를 확인 결과 장승이라는 직감이 들었다. 3월 6일 주변에 나뭇가지로 자갈을 조금 치우고 손으로 만져보니 손바닥 촉감에 일정한 간격이 있어서, 삽으로 주변을 조금 파서 손으로 확인하니 예사롭지 아니함을 느꼈다. 그동안 예비 조사 내용을 이진상 회덕주민센터 동장에게 말씀드리고 3월 13일 일요일에 장비를 이용하여 돌을 들어보니 책자에 나온 사진과 비교하니 검정 돌이 박힌 2곳 위치와 줄 간격 등을 확인하고 진위라고 판단했다. 모든 사항을 확인 후 대전문화유산 울림 안여종 대표와 협의 후 3월 21일에 ‘읍내동 남장승 다시 세우기’ 고유제 행사를 진행했다. ‘읍내동 남장승’을 세우고 방송사나 신문사와 인터뷰에서 여장승을 찾는 데 협조를 부탁했으며, 그 결과 3월 30일 지역주민의 연락과 송원섭 사장과 임봉규 대전국악사랑회 회장의 증언을 들었다. 민속. 향토 사학자 김성복 박사의 여장승이 있는 현장에서 확인했다. 과거에 법동천이 흐르는 시절에 당시 읍내교 사이를 두고 장승이 서로 마주 보고 있었다고 증언과 지역주민과 대덕구청과 수차례 회의 결과 2017년 8월 17일 현재의 위치에 남장승을 이전했다. 그 뒤로 2019년 2월 18일 ‘읍내동 장승제’를 처음으로 정월대보름 행사가 처음으로 진행했으며, 송원섭 사장은 지역주민들과 함께 매년 행사를 주관하시고 있다. 최근에 ‘읍내동 장승’이 있는 주변에 대형 건물이 신축으로 다소 어수선하지만, 지역주민과 대덕문화원, 대덕구청 관계자분들이 협조하여 주변을 넓게 정리하여 지금처럼 인도에서 대보름 행사가 진행되지 않도록 했으면 한다. 주변에는 ‘읍내동 당아래 장승’과 ‘읍내동 뒷골 돌장승’과 함께 읍내동에 3개 장승이 있는 곳은 대전에서 유일하다. 이곳 장승들은 비지정문화재이지만, 우리에게는 매우 중요한 민속자료들이다. 장승이나 선돌, 돌탑은 예전부터 그 지역 마을 입구를 지키면서 지역주민과 지역의 안녕을 기원하면서 주민의 화합과 단결을 도모했다. 세시풍속인 정월대보름에는 대전 시내 모든 곳에서 장승 앞에서 장승제를 지내고 있는데, 대덕구에서 3곳의 장승이 있는 읍내동을 축제의 장소로 만들어 주길 바란다. 그러나 도시가 점점 발전으로 사라져가고 있으며, 풍속을 이어서 하여야 할 젊은 사람들이 없는 것이 매우 안타깝다. 정월대보름 행사는 일 년에 단 한 번 밖에 볼 수 있는 마을 축제이기도 하면 조상 대대로 내려오는 민속 유산으로 앞으로 우리가 계승했으면 한다.
    • 오피니언
    • 이광섭,대전문화유산
    2024-06-10
  • 가보자! 대전문화유산을 찾아서 / 우병사 지팡이돌
    대전광역시 서구 괴곡동에 '우병사 지팡이돌'이 위치하고 있다. 화강석으로 사각형에 폭 38cm, 두께38cm, 높이250cm 이며, '우충장공석장'이라 해서체 글씨로 해서체로 음각으로 새겨있다. 처음에는 유성구 송강동 소정이 마을 앞에 있었으며, 해마다 제사를 지내왔으며, 그후 마을이 쇠퇴하자 다리로 사용되다가 봉명동 온천 마을로 이전을 했다. 우병사 묘소가 이곳으로 이전하면서 함께 이전을 했으며, 우상중 3대 묘소가 있다. 맨위가 우상중, 중앙에는 그의 아들 우순신, 맨 아래는 손자 우서규 묘이다.
    • 오피니언
    • 이광섭,대전문화유산
    2024-06-08
  • 가보자! 대전문화유산을 찾아서 / 봉소루
    중구 석교동에 위치한 '봉소루'는 대전광역시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었으며, 답사 시 문이 잠겨있어서 외부에서만 촬영을 했다. 보문산 남쪽 기슭에 있는 '봉소루'는 조선 인조(재위 1623~1649) 때 학자이면서 교육자인 남분봉(1607~1674)이 학문을 가르치던 서재이다. 원래 봉소재라 불렸는데 '봉소'는 새들의 보금자리란 뜻으로, 실제로도 봉소루 주위에는 수백년 된 느티나무 등이 있어 많은 새들이 오가고 있다. '봉소루'는 후진을 양성하는 교육의 장으로, 숙종 40년(1714)과 영조 34년(1758)에 고쳐 세운 기록이 있다. 안채는 전면 3칸, 측면 1칸 규모의 건물이고, 누는 전면 1칸, 측면 2칸 규모로 되어 있다. 안채와 누가 붙어서 ㄱ자형을 이루고 있으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자 모양인 팔작지붕이다. 누 정면에는 봉소루 현판이 걸려 있습니다. 1970년대에 건물을 고쳐 세웠으나, 형태는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 오피니언
    • 이광섭,대전문화유산
    2024-06-07
  • 아까워라 이내마음, 탕탕한 군자의 마음!
    “아까워라 이내마음, 탕탕한 군자의 마음!” 300년 전 회덕 땅에 살았던 김호연재(1681~1722)는 ‘탕탕한 군자의 마음’을 지닌 자기 자신이 너무도 아깝다고 말하였다. ‘군자(君子)’는 유학을 근본이념으로 한 조선사회에서 추구했던 가장 이상적 단계의 인간형이다. 그런데 조선시대 양반남성들조차도 자기 자신을 ‘군자’라고 자신 있게 말하는 사람이 그리 많지 않았다. 다만 ‘군자지향(君子志向)’ 정도로 은근히 에둘러 표현하기가 일쑤였다. 넓고 광대한 군자의 기상을 지닌 김호연재. 그러나 자신의 역량과 욕망을 펼칠 사회적 여건이 아니었던 조선사회에서 좌절할 수밖에 없었다. 김호연재는 자신이 여성으로 태어난 것을 슬퍼하였다. 밝은 달처럼, 맑고 맑은 물처럼, 깨끗하고 깨끗한 흰 구름처럼, 그녀의 정신세계는 높고 고결하였다. 화려하게 몸치장하고 남성의 사랑이나 기다리는 성정이 아니었기에 여성으로 태어난 것을 더욱 슬퍼하였다. 그녀의 영혼은 속된 세상 사람들과 섞일 수 없었으므로 언제나 외톨이였다. 김호연재는 탕탕한 군자의 마음을 지니고도 다 펼칠 수 없었던 자기 자신의 운명 앞에서, ‘할 수 있는 일이 아무것도 없구나[奈何無所爲]’라고 말하며, 통곡 또 통곡하였다. 그러한 마음을 노래한 시가 다음의 <자상(自傷)>이다. <슬퍼서> 아까워라, 이내마음 탕탕한 군자의 마음. 겉과 속 숨김없으니 밝은 달이 흉금을 비추도다. 맑고 맑음은 흐르는 물과 같고 깨끗하고 깨끗함은 흰 구름 같아라. 화려한 사물 즐겨하지 않고 뜻은 구름과 물의 자취에 있도다. 속된 무리와 하나 되지 못하니 세상 사람들 도리어 그르다 하네. 규방 여인의 몸 된 것 슬퍼하노니 창천은 가히 알지 못하리라. 아, 할 수 있는 일 그 무엇이랴! 다만 각각의 뜻 지킬 뿐이지. <자상(自傷)> 可惜此吾心(가석차오심) 蕩蕩君子心(탕탕군자심) 表裏無一隱(표리무일은) 明月照胸襟(명월조흉금) 淸淸若流水(청청약유수) 潔潔似白雲(결결사백운) 不樂華麗物(불락화려물) 志在雲水痕(지재운수흔) 弗與俗徒合(불여속도합) 還爲世人非(환위세인비) 自傷閨女身(자상규녀신) 蒼天不可知(창천불가지) 奈何無所爲(내하무소위) 但能各守志(단능각수지) 김호연재는 그녀가 살았던 조선시대의 시대적 환경을 “뜻이 있어도 말하기 어렵고, 문필 있으나 감히 다하지 못한다네. 다만 홀로 소리를 삼켜 통곡하고, 흐르는 눈물에 옷깃을 적실 뿐(有志難言, 有文未敢. 秪獨呑聲, 有淚沾衣. <失題>)”이라고 읊었다. 김호연재는 당당한 명문가의 후손으로 태어나 지적 자부심이 대단하였던 엘리트 여성이었다. 그러나 녹녹치 않은 여성의 삶과 문학 환경, 시대의 절벽에 좌절하였다. 그리하여 “시와 술 뜻에 따라 맡기나니, 세상이 미치광이라 일컬어도 혐의치 않으리라(詩酒任隨意, 不嫌世稱狂. <閑情)>)!”라고 그 궁극의 아픔을 노래하였다. <삼산군수에게 쌀을 빌리며> 호연당 위의 호연한 기상 사립문 위의 구름과 물, 호연함을 즐기네. 호연이 비록 즐거우나 곡식에서 나오는 법 삼산군수에게 쌀을 빌리니 이 또한 호연한 일일세. <乞米三山守(걸미삼산수)> 浩然堂上浩然氣(호연당상호연기) 雲水柴門樂浩然(운수시문락호연) 浩然雖樂生於穀(호연수락생어곡) 乞米三山亦浩然(걸미삼산역호연) 김호연재는 쌀을 빌리면서도 이처럼 당당하고 의연하다. 일반 사람들은 “무항산(無恒産)이면 무항심(無恒心)”이라고 한다. 생활, 곧 경제가 안정되지 않으면 변함없는 마음을 갖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김호연재는 “가난은 선비의 떳떳한 도이다. 사람을 대할 때 덕(德)이 없는 것이 부끄러운 것이지, 의식(衣食)은 부끄러운 것이 아니다”라고 역설하였다. 안빈낙도 · 안빈호학을 실천한 선비의 모습이다. 요즈음 우리네의 삶에 비추어 볼 때, 결코 쉬운 일만은 아닐 것이다. 그녀의 배짱이, 풍요로운 정신세계가 아름답다. <취하여> 취하고 나니 천지가 넓고 마음을 여니 만사가 편안하구나. 고요히 자리 위에 누웠노라니 즐거움에 잠시 세상의 정 잊노라. <醉作(취작)> 醉後乾坤濶(취후건곤활) 開心萬事平(개심만사평) 悄然臥席上(초연와석상) 唯樂暫忘情(유락잠망정) <만음> 녹수는 콸콸 울타리 밖에 흐르고 청산은 은은히 난간 앞에 펼쳐있네. 공명은 다만 인간사 한바탕 꿈일 뿐 무엇을 구구하게 세상과 다투리오. <謾吟(만음)> 綠水冷冷籬外在(녹수냉냉리외재) 靑山隱隱檻前生(청산은은함전생) 功名秪是黃梁夢(공명지시황량몽) 何事區區與世爭(하사구구여세쟁) 김호연재의 시집은 몇 종류가 있다. [오두추도(鰲頭追到)]·[호연재유고(浩然亝遺稿)]·[호연재시집(浩然齋詩集)]·[호연재유고(浩然齋遺稿)]·[호연ᄌᆡ유고] 등이다. 현전 총 작품 수는 250여수이다. 이러한 다양한 시집들의 존재는 김호연재의 한시가 송씨 가문에서 세대 간에 상당한 관심 속에 향유 · 유통되었음을 반증하는 것이다. 김호연재의 9세손 송용억이 1995년에 발간한 [호연재유고(浩然齋遺稿)]는 이러한 시집들을 정리하고, 여기에 [자경편], 부록으로 외손 김종최의 <사실기>, 아들 송익흠의 <유사>, 종질 송명흠의 <천장시제문>, 친정 조카 김겸행의 <제문> 2편, 사위 김치공의 <제문>, 김종최의 <제문> 2편, 김원행의 <소대헌공묘표> 등을 실어 발간하였다. 현재 김호연재 시작품의 전모는 이 책을 통해서 볼 수 있다. 이제, 당대 사람들의 손가락질을 달게 받으며 “술을 마시고, 시를 쓸 수밖에 없었다.”고 절규한 김호연재의 삶과 문학을 찾아 떠나야할 때다.
    • 오피니언
    • 김호연재,그녀는누구인가?
    2024-06-06
  • 가보자! 대전문화유산을 찾아서 / 석교동 느티나무 보호수
    대전광역시 중구 석교동 대종로 대로변에서 골목을 들어서면 길 가운데에 양팔 벌린 듯 서있는 보호수(품격 :구 나무수, 수령 : 420년)한그루가 보인다. 사계절마다 자태를 뽐내며 마을과 봉소루를 찾는 이들을 환영해주는 고마운 느티나무이다. 또한 마을 청소년들이 아침 등교 길에 친구들과 모이는 약속 장소이기도 하다. 마을 원로인 남광원 이사장님(충무 새마을금고)은 40~50년 전만 해도 6~7명이 두 팔 벌려 에워 쌓을 정도로 아름드리였던 보호수가 불에 전소되고 일부 남은 것이 지금의 보호수이다. 봉소루 주변의 토박이 어르신들도 봉소루(새들의 보금자리) 주변에는 지금보다 훨씬 많은 나무들이 있었고 특히 아름드리 큰 나무들이 우거져 있어 수많은 새들이 오고 갔다고 한다. 수십년 전에 날아들어 새끼를 치고 갔다가 이듬해 다시 찾아왔었다는 솔부엉이(천연기념물 제 324호)는 지금도 마을 어른신들의 기억속에 남아 있었다. 이후 마을의 도시계획과 주택 개발로 많은 나무들이 많이 베어지면서 찾아오던 솔부엉이가 자취를 감췄다고 한다. 봉소루 어귀에 있던 커다란 팽나무에는 그네도 매달려 있었는데, 마을 여인네들의 유일한 놀이터였다. 석교동 권서윤 할머니는 갓 시집 온지 얼마되지 않은 새색시 시절에 단요날 한복을 곱게차려입고 그네를 뛰었다고 한다. 그네를 얼마나 높이 뛰었던지 입으로 나뭇잎을 '똑' 따고 내려와 주변의 박수와 함성을 들었다고 한다. 지금은 그네가 매달려 있던 팽나무와 솔부엉이는 볼 수는 없지만, 사거리의 보호수와 봉소루 돌담길 옆 느티나무들은 이마을에 보물입니다.
    • 오피니언
    • 이광섭,대전문화유산
    2024-06-05
비밀번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