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연장 가동률·공연 횟수·관람객 수 모두 큰 폭 증가
- 수준 높은 기획공연과 국악 대중화 노력으로 문화적 가치 확대
대전시립연정국악원(이하 국악원)이 만년동 문화예술단지로 이전해 신청사를 개관한 지 10년, 1981년 연정국악연구원으로 출발한 지 44년이 지난 현재, 중부권을 대표하는 국악 전용 공연장으로 확고히 자리매김했다.
2015년 신청사 개관 후 본격적인 공연 운영을 시작한 국악원은 공연장 가동률, 공연 횟수, 관람객 수 등 정량적 성과뿐만 아니라 수준 높은 기획공연과 국악 대중화를 위한 다양한 시도를 통해 질적 성장도 이뤄냈다.
국악원의 공연장 가동률은 2024년 말 기준 62.5%로, 2018년(40.7%) 대비 20% 이상 증가했다. 이는 2022년 국가통계포털 기준 전국 평균 가동률(50.2%)을 크게 웃도는 수치다.
또한, 공연 횟수와 관람객 수도 대폭 증가했다. 2024년 기준 기획공연 66회, 국악단 공연 26회, 대관공연 150회를 포함해 총 242회 공연이 열렸으며, 관람객 수는 6만 7,522명에 달했다. 이는 2016년 대비 공연 횟수는 두 배 가까이, 관람객 수는 30% 이상 증가한 수치다.
특히, 국악원은 중부권 유일의 자연음향 전용홀 ‘작은마당’을 보유하고 있어 공연자들 사이에서 인기가 높아 대관공연이 2016년(63회) 대비 두 배 이상 증가한 150회를 기록했다.
국악원은 국악의 전통을 유지하면서도 현대적 감각을 접목한 창작 국악 공연을 꾸준히 선보이며 관객들에게 감동과 즐거움을 제공하고 있다.
대표적인 공연으로 ▲미디어아트와 국악을 결합한 ‘신년음악회’ ▲영화 OST를 국악관현악으로 연주한 ‘ON AIR-국악상영관’ ▲서양악기, 뮤지컬배우, 가수와 협연하는 ‘송년음악회’ 등이 있다. 특히, ‘송년음악회’는 매년 매진을 기록하며 큰 인기를 얻고 있다.
또한, 국악과 클래식을 접목한 ‘K-브런치콘서트 우.아.한’, 국립창극단 단원들과 함께 제작한 판소리 음악극 ‘모던춘향’, 트로트 가수 송가인과 국악팀 바라지가 함께한 ‘전(傳)하여 통(通)하다’ 등도 국악의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며 호응을 얻었다.
특히, 국악원과 기획사가 공동 제작한 가족 뮤지컬 ‘신비한 가’는 2023년 일본에서 열린 K뮤지컬 로드쇼 in 아시아에 선정되어 쇼케이스로 공연을 펼쳤으며, 8개의 우수 기획공연이 정부 공모사업에 선정돼 2억 1,400여만 원의 국비를 확보하는 성과를 거뒀다.
국악원은 신청사 이전 10주년을 기념해 다양한 특별공연을 준비 중이다. 해금 연주자 천지윤, 바이올리니스트 대니구, 재즈팀이 협연하는 ‘천지윤과 친구들(가제)’, 한국무용의 밤 등 다채로운 공연과 함께 국악원의 역사 기록물 전시회도 개최할 예정이다.
국악원 관계자는 “수준 높은 공연을 제공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공연자와 관객의 안전을 철저히 지키면서, 국악의 가치를 국내외에 알리는 역할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